올해 금융지주와 은행들은 공격적인 성장보다는 관리 중심의 보수적인 경영 전략을 펼 것으로 보인다. 경기 침체가 우려되는 가운데 지난해 말 탄핵 정국까지 겹치며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고, 올해는 트럼프발 리스크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보여 새로운 것을 도전적으로 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란 게 은행권의 공통된 시각이다. 특히 금융지주사들은 지난해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에 따라 위험가중자산(RWA) 성장률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은행들은 이자이익 성장이 제한된 상황에서 비이자이익 확대를 위한 새로운 수익원 마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은행권에 허점으로 지목된 내부 통제 강화에도 더욱 매진할 예정이다.
금융지주 “수익 극대화 어려워…양보다 질"
2일 은행권에 따르면 금융지주·은행 관계자들은 올해는 '성장보다는 안정'이 중요한 한 해라고 입을 모았다.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에 따른 트럼프발 리스크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 2기는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부호무역주의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할 것을 예고했는데, 이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여기에 올해 1% 성장 전망 등 경기 악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모습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자산, 리스크 등을 관리하면서 안정적인 영업 전략을 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큰 만큼 금융지주사들은 공통적으로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보수적인 관점에서 올해 사업 전략을 수립한 것으로 보인다. 경영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에 경기 상황별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이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금융지주사들이 발표한 밸류업 계획의 중장기 목표 달성을 위해 '양보다 질'에 초점을 둔 자산 관리가 중요해졌다. 밸류업 계획의 핵심은 RWA 성장률 관리를 통해 보통주자본(CET1)비율을 높이고, CET1비율 목표 초과분은 주주들에게 환원하겠다는 것이다. RWA는 은행 자산을 유형별로 나눠 위험 정도를 반영해 계산한 것으로, 신용대출, 기업대출 등 위험이 높은 자산일수록 높은 위험가중치를 적용한다. CET1비율은 보통주자본을 RWA로 나눠 구하기 때문에 RWA를 낮춰야 CET1비율이 높아진다. 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등 시중 금융지주사들은 밸류업 계획을 통해 CET1비율 13% 이상을 목표 수준으로 제시했다.
RWA 성장률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같이 위험자산을 확대해 수익성을 높이는 방식은 피해야 한다. 앞으로는 위험도가 낮은 자산 중심으로 수익성을 내는 질적 성장을 추구할 예정인데, 이 때 사용하는 지표가 자기자본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 확인할 수 있는 RoRWA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올해는 RoRWA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영하고 리스크 대비 수익성을 고려해 자본 효율적 배분을 통한 성장을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서 CET1비율과 외화유동성 관리도 중요해졌다. 금융지주사들은 CET1비율 13%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방어 전략을 세우고, 외화조달수단을 다변화해 외화유동성 관리에도 문제가 없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금융지주사들의 이같은 기조는 그룹 계열사 전반의 분위기와 다르지 않다. 계열사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성장보다는 안정이란 인식을 가지고 한 해를 보낼 계획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카드, 자산운용, 캐피탈 등 다양한 계열사들의 상황을 봐도 규제나 대내외 환경,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 등으로 공격적인 성장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 포트폴리오 다변화 시도…내부통제 강화
은행 또한 관리 중심의 보수적인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자이익 성장에 한계가 생긴 만큼 비이자이익 강화를 위한 수익원 확대가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RWA 성장률 관리가 중요해지며 지난해와 같이 기업대출 성장에 목을 맬 수 없는 상황이 됐다. 기업대출은 위험 가중치가 높아 우량 기업 중심의 선별적인 기업대출 확대로 전략을 바꾸고 있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관리를 주문하고 있어 주택담보대출 등 상대적으로 위험 가중치가 낮은 대출 자산도 확대하기 어렵다. 여기다 기준금리 추가 인하까지 예고돼 있어 은행이 이자이익을 확대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다.
은행들은 리테일 영업력 강화, 타업종과의 협업 등을 통해 비이자이익 확대를 도모할 계획이다. 실제 지난해 은행들은 현장 영업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직개편을 실시했다. 다만 현재 은행의 비이자이익에서는 펀드나 주가연계증권(ELS)과 같은 신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펀드 판매가 줄고 있는 데다 홍콩 ELS 사태 이후 ELS 판매는 전면 중단돼 비이자이익 확대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펀드, 신탁, 카드, 방카슈랑스, 퇴직연금(실물 이전), 고자산가 자산관리(WM)와 같은 비은행 상품과 서비스 판매를 확대하기 위해 조직적으로도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며 “리테일 영업력을 강화해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트폴리오 다변화 일환으로 배달앱, 알뜰폰 등 은행들의 타업권 진출 움직임도 지속될 전망이다. 단 그동안 내놓던 결과물들이 수익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은 은행의 고민거리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종산업 진출이 단기간에 수익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전통적인 비이자상품 영업력을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내부통제 강화는 올해 은행들이 가장 매진할 부분으로 꼽힌다. 그동안 금융사고가 잇따르며 은행들의 내부통제 허점이 드러난 만큼 내부통제를 강화해 은행의 신뢰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책무구조도는 내부통제 강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올해는 지난해부터 이어온 내부통제 강화에 주안점을 둘 것"이라면서 “경제·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큰 시기라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고, 변화와 혁신보다는 안정적으로 자산 성장을 하는 것이 화두일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