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가 신년 키워드를 '생존'으로 삼고 위기 극복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공사비 급등' 같은 고질적인 문제를 아직 해결하지 못했는데 환율이 비정상적으로 오르는 등 대외 환경이 더욱 악화하고 있어 고민이 깊다. 주요 기업들은 최고경영자(CEO)를 바꾸고 조직개편을 단행하며 내실 다지기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한승구 대한건설협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대외 불확실성으로 내수·수출이 모두 어려운 가운데 '3고(고금리·고물가·고환율)' 현상 지속과 공사비 상승, 미분양 증가 등으로 건설경기가 장기 침체되고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아 대한민국 성장 동력마저 상실될까 우려된다"고 언급했다.
정원주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장도 신년사를 통해 “주택경기 전망이 희망찬 청사진만은 아니기 때문에 새해를 맞는 마음이 마냥 기쁘지만은 않다"고 했다. 주요 건설사 CEO들은 별도 대외 메시지를 내는 대신 새해 벽두부터 내부 결속을 다지는 데 주력하고 있다.
건설업은 2023년 말부터 시작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와 공사비 급등, 지방 미분양 적체, 지역간 집값 양극화 등으로 장기간 경기 불황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엔 지난해 말 비상계엄 및 탄핵 정국 여파로 환율이 치솟아 원자재 수입 부담이 커졌다.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공의 몫이 중요한 상황이지만 정치적 불확실성 고조에 따른 정책 리더십 실종도 큰 문제다.
건설업계는 조직 안정과 쇄신을 통한 생존에 나서고 있다. 시공능력평가 10위권 건설사 중 삼성물산과 롯데건설을 제외한 8곳이 지난해 선장을 바꿨다. 포스코이앤씨의 경우 전중선 대표가 선임된지 1년도 되기 전에 수장을 교체했다. 현대건설은 70년대생 CEO를 발탁하는 쇄신 인사를 단행했다. 보수적 성격이 짙은 건설업계에서 '젊은 CEO'가 탄생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꼽힌다.
수익 다변화 차원에서 신사업 확장에도 열중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조직개편을 통해 원자력 관련 부서를 신설하는 등 활로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원전 외에 데이터센터, 제로에너지건축 등에서 새 먹거리를 찾는 곳도 있다.
침체된 국내 대신 해외에서 수익처를 찾는 경우도 많다.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은 지난달 26~27일(현지시간) 베트남 남부지역 빈즈엉성과 동나이성에서 주요 관계자들과 만나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해외건설협회는 원전,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등 프로젝트 참여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정부도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며 올해 경제성장의 가장 큰 걸림돌로 건설경기 부진과 소비 회복속도 지연을 꼽았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도 신년사에서 “(건설산업) 침체 반전을 위해 적극적인 재정 조기 집행과 과감한 규제 완화를 추진해야 한다"며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공급 물량을 최대한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주택공급의 기반을 다지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짚었다.
건설업계에선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정책적 지원을 해줘야 한다는 요구도 나온다. 정원주 회장은 “주택 건설 산업이 정상화하도록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며 “부동산 PF 정상화를 위한 긴급 지원 등 실효성 있는 주택사업자 유동성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