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킹달러에 AI열풍 이어가고 국제유가는 하락 전망”…미 월가의 올해 투자전략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1.02 13:41
AP Poll Economy

▲미 월가(사진=AP/연합)

2025년 새해가 시작된 가운데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올해 투자 전략과 관련해 어떤 전망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린다. 특히 올해부턴 예측 불가능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집권으로 불확실성이 더욱 고조되자 투자자들의 관심이 더욱 집중되는 상황이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올해에도 달러 강세가 이어질 것이란 점에 입을 모았다. 미국 증시 또한 올해에도 상승하지만 작년과 같은 강세장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분산 투자를 통한 다각화가 유리하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아울러 월가에서는 인공지능(AI) 거품이 터지는 것보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위협과 이에 따른 후폭풍에 더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가 50곳이 넘는 글로벌 금융기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달러화 가치는 트럼프 당선인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올해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108.296으로 2024년을 마감했는데 이는 작년 연초 대비 7% 가량 급등한 수치다.


픽텟 자산운용은 “외환시장에서 단기적으로 달러가 오버슈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고 시티그룹은 “달러화가 1분기에 더 오른 후 상반기 내내 해당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BNP 파리바는 달러가 특히 중국 위안, 멕시코 페소,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CEE3(중동유럽 3국) 대비 두드러진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골드만삭스는 달러 강세가 예상되는 만큼 투자자들이 해외 채권 및 주식 익스포져를 줄일 것으로 권장했다.




일각에선 일본 엔화가 달러 대비 가치가 오르는 유일한 통화가 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됐다. 맥쿼리는 “엔화가 달러보다 더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JP모건의 경우 1분기에 유로달러 패리티(1달러=1유로)가 붕괴할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달러 대비 엔화 환율이 2분기에 148엔까지 하락(엔화 가치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달러 강세가 예상되는 배경엔 미국 경제만 나홀로 호황을 보이는 이른바 '미국 예외주의'가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티 로우 프라이스는 “미국 예외주의 동력이 아직도 꺼지지 않았다"며 “특히 AI 투자에 힘입어 미국은 1년 더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는 “미국 경제는 팬데믹 이후 독보적인 경로를 보여왔고 고금리 측면에서 역사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2025년에도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중국과 유럽은 올해도 부진을 면치 못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블룸버그는 “유럽이 부활할 것이란 확신은 낮고 중국은 지속적인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고 짚었다.


미국 증시의 경우 올해도 오르지만 상승폭은 작년보다 작을 것이란 게 월가의 견해다. 뉴욕증시를 대표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024년 마지막 거래일인 31일 5881.63을 기록, 23.3%의 연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 뱅크오브아메리카와 BNY멜론은 S&P500 지수가 올해 12~13% 가량 오를 것으로 내다봤고 도이체방크는 S&P500 지수의 연말 목표치를 7000으로 제시했다.


원자재의 경우 월가에서는 올해 국제금값이 더 오르는 반면 유가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BNP파리바는 올해 초 금 가격이 신고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고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올해 금값 목표치를 3000달러로 제시했고 구리 가격은 17%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맥쿼리는 올해 글로벌 원유시장의 공급과잉을 거론하면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평균 가격이 배럴당 66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달 31일 WTI 선물 가격은 배럴당 71.72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제프리스는 “석유 섹터에 있어 2025년은 어려운 해가 될 것"이라며 “금속, 특히 구리와 금에 대한 거시경제적 환경은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월가에서는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과 이에 따른 새로운 무역전쟁을 올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최대 리스크로 꼽았다.


BCA리서치는 “2025년 트럼프 행정부에서 무역과 관련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미국과 세계 경제에 모두 부정적"이라고 우려했다.


찰스 슈왑은 “(관세에 따른) 무역전쟁이 2025년 글로벌 성장에 최대 리스크"라고 했고 UBS는 “관세 쇼크는 스태그플레이션을 동반한 하락 시나리오를 촉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골드만삭스는 “광범위한 무역전쟁이 일어날 리스크가 과소평가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