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가열화로 인해 개구리 서식지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양서류의 생존 기반이 점점 위협받으면서 개구리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이는 기후위기가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연관돼 있어,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7일 국제 학술지 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된 이번 연구에 따르면 2080년까지 전 세계 개구리 서식지의 최대 33.6%가 사막화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연구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을 중간 수준으로 제한하는 시나리오(SSP2-4.5)에서도 2080년까지 개구리 서식지의 6.6%가 사막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현재의 배출량이 유지되는 고배출 시나리오(SSP5-8.5)에서는 서식지의 33.6%가 사막화되고, 36.1%가 심각한 가뭄에 노출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팀은 건조도 지수(Aridity Index, AI)를 통해 이러한 환경 변화가 양서류 생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개구리는 수분과 체온을 동시에 조절해야 하는 특성 때문에 건조화에 특히 취약하다. 높은 습도를 필요로 하는 개구리는 하천과 같은 습지 주변에 서식하며 환경 변화에 적응해 왔다.
일부 개구리는 굴을 파거나 피부에서 분비되는 지질과 같은 보호 물질로 건조한 환경에서 살아남지만, 극심한 건조 상황에서는 이러한 방식도 한계를 드러낸다. 기후위기가 개구리 개체 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기후위기는 개구리의 활동 시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파머 가뭄 심각도 지수(PDSI)를 활용해 활동 시간 변화를 분석했는데, 가뭄과 온난화가 동시에 발생하면 개구리의 여름철 활동 시간이 최대 21.8%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개구리의 번식, 먹이 활동, 서식지 이동 등 생존에 필수적인 행동이 위축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개구리 서식지의 감소는 생태계 전반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구리는 곤충의 주요 천적 중 하나로, 개구리 개체 수가 줄어들면 모기와 같은 해충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말라리아 같은 전염병 확산 위험을 키울 수 있으며, 농작물 해충이 증가해 농업 생산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개구리 서식지와 습지를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팀은 “수분 관리 시스템 도입과 주요 서식지 보존이 양서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기후변화 대응이 생태계 전반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지역 사회의 참여와 실천도 중요하며 습지 복원이나 물 사용 절약 같은 활동이 서식지 보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개구리 서식지 감소 문제가 특정 종에 국한되지 않고 생태계 전체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