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닛산과 혼다의 합병, 중국 BYD의 무서운 성장세와 한국진출까지 올해 동북아시아 자동차 업계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자동차그룹은 일본의 거대 기업과 파죽지세의 중국 업체를 모두 방어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장기적인 신차·친환경차 개발,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처 등을 통해 이들과 경쟁에 적극적으로 임할 방침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의 자동차 기업 닛산과 혼다는 본격적인 경영 통합 협의를 시작하는 등 합병을 구체화하고 있다. 글로벌 업계의 전동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두 기업이 힘을 합쳐 극심한 부진을 극복하자는 취지다.
닛산·혼다 '글로벌 3위' 기업의 탄생…R&D 비용 절감에 긴장
닛산과 혼다는 최근 글로벌 시장서 뚜렷한 영향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판매량도 현대차그룹에 크게 뒤처졌을 뿐만 아니라 이렇다 할 전기차 모델도 보유하고 있지 않다. 특히 중국 전기차 브랜들에 밀리며 텃밭이던 중국과 동남아시장도 잃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합쳐졌을 땐 계산이 달라진다. 2023년 기준 혼다는 398만대, 닛산은 337만대를 판매했다. 양사 판매량을 합산하면 약 735만대로 3위 현대차그룹(730만대)를 뛰어넘는 기록이다. 단숨에 글로벌 판매량 3위 거대 자동차 기업이 탄생하는 셈이다.
반면 대부분 업계에선 이들의 합병을 '일본판 스텔란티스'라며 비판하고 있다. PSA그룹과 FCA그룹의 합병으로 등장한 스텔란티스는 출범 이후 오히려 판매량이 급감하며 현재까지도 부진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어떤 결과가 나올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합병을 통한 R&D 비용 절감으로 적극적으로 신차, 기술 개발에 전념할 수 있기 때문에 방심은 금물이다. 특히 혼다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닛산은 전기차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시너지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다.
아직까진 이들이 현대차그룹 판매량에 영향을 미치진 못할 전망이지만 매력적인 전동화 모델이 출시된다면 언제든 수요를 빼앗길 수 있다.
'전기차 1위' BYD의 한국 공습…'저가 공세' 주의보
갑작스러운 일본 거대 경쟁자 탄생에 이어 전기차 최강자의 '한국 공습'도 예정됐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에 오른 중국의 BYD는 오는 16일 한국 승용시장 진출을 공식화한다. 극심한 캐즘으로 힘든 전기차 내수 시장에 강력한 상대가 등장한 것이다.
BYD는 이미 세계적인 기업으로 거듭났다. 에너지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2024년 1~11월 글로벌 전기차 등록대수 현황에 따르면 BYD는 이 기간 동안 367만3000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43.4%의 성장률과 함께 전체 1위를 기록했다.
전기차 최강자인 테슬라가 전년 대비 2% 역성장하는 동안 그 자리를 뺏어버렸다. 같은 기간 현대차그룹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2% 하락한 51만대를 판매에 그쳤다.
BYD의 무기는 '저렴한 가격'이다, 정부의 든든한 지원, 값 싼 인력 그리고 내재화를 통한 엄청난 생산비용 절감 등을 통해 타 브랜드 전기차 대비 1000~2000만원 저렴한 가격으로 세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세계를 제패한 BYD의 다음 타깃은 한국이다. 반중감정이 가득한 시장인 탓에 험난한 여정이 예상되지만 분명히 이들의 전기차를 구매하는 수요는 존재할 것이다.
이들의 첫 모델로 예상되는 아토3의 경우 글로벌 시장서 동급인 기아 EV3 보다 약 1000만원 이상 저렴하다. 아무리 중국산에 대한 불신이 깊은 소비자들이어도 구매비용이 파격적으로 낮다면 이끌릴 수밖에 없는 것이 시장의 원리다.
게다가 화재에 안전한 LFP 블레이드 배터리가 탑재됐다는 점도 국내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위기의 해' 맞은 현대차그룹, 신차출시·현지생산 확대·협력으로 대응
이에 현대차그룹은 올해를 '위기의 해'로 인식하고 신차 개발, 해외생산 확대,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차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장기적인 경쟁에 돌입할 것임을 밝혔다.
내수시장서는 아이오닉9, EV4·5 등 새로운 전기차 모델을 출시해 BYD 공세에 대응하고 팰리세이드 HEV 등 하이브리드 모델도 늘려 전동화 라인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보급형 전기차 EV4·5로 BYD의 저가공세에 대응한다.
뿐만 아니라 현대차는 추후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전환까지 고려하면서 장기적인 관점으로 BYD와 경쟁할 방침이다.
지난 6일 열린 현대차그룹 신년회에서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은 “충전 인프라부터 SDV 전환까지 모든 생태계를 전기차 경쟁에서 고려하고 있다“며 "전체적인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어 닛산·혼다의 등장과 트럼프 2기 집권 등으로 복잡해질 글로벌 시장에선 유연한 대응을 통해 판매량을 확보하고 조지아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공장 등 해외 공장 생산능력을 확대해 글로벌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다.
또 글로벌 시장서 경쟁력을 갖춘 제네시스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구축해 세계 소비자들의 구미를 자극할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미래차 시장을 이끌 EREV 개발도 나선다. EREV는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장점을 각각 적용한 차량이다.
이어 현대차는 미국 제네럴모터스(GM), 일본 토요타 등과 협력을 통해 몸집을 키우고 생산 비용 절감, 효율성 증대 방안 등을 모색할 예정이다.
장재훈 부회장은 “볼륨보다도 내실, 얼마만큼 질적 성장을 하느냐 그 부분이 중요하다“며 "기술 측면, 원가 측면에서 품질과 더불어 과거와는 또 다른 부분에서 성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