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프랜차이즈, 생계형 언제까지 下] “가맹본부 ‘자발적 쿼터’로 업종·인식 변화 유도해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1.13 16:28

■ 김상훈 스타트비즈니스 소장 시장 진단
多브랜드 난립·마진 뽑기 출점 구태 ‘문제’
변별력 떨어지는 가맹사업법도 개정 필요
창업전문대학 신설·정보 콘텐츠 강화 주문
“고물가시대 생존이 관건…창업투자 신중”

브랜드 수 1만2429개. 전국 가맹점 수 35만2866개. 프랜차이즈 공화국이라는 명성에 걸맞은 몸집을 갖췄지만 외형 성장의 그늘에 갇혀있다. 마구잡이 출점으로 포화된 외식업종은 불경기 때마다 문을 열거나, 닫는 생계형 창업자들로 악순환의 고리가 이어진다. 경기 부침에 일희일비하는 국내 프랜차이즈산업의 문제점을 톺아보고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향후 개선점을 2회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주>

김상훈 스타트비즈니스 소장

▲김상훈 스타트비즈니스 소장 (세종사이버대 외식창업프랜차이즈학과 겸임교수)

“국내 프랜차이즈 시장은 개설 마진과 유통 마진 중심의 수익모델 구조여서 단기간에 새 가맹점 출점에만 혈안인 가맹사업 구태(舊態)를 반복하고 있다. 가맹점을 많이 열지 않아도 업력에 따라 가치를 인정하고, 이러한 사업 모델을 존중하는 풍토가 조성돼야 한다."


국내 창업시장에서 30년 넘게 전문가로 활약 중인 창업 컨설팅업체 스타트비즈니 김상훈 소장은 생계형 업종 중심의 국내 프랜차이즈산업 구조 변화와 창업자의 인식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소장은 현재 세종사이버대 경영학부 외식창업프랜차이즈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예비 창업주들과 소통하는 유튜브 채널 '창업통TV'도 운영하고 있다.


가맹본부의 경영 노하우 전수와 효율적 매장 운영이 가능하다는 산업의 특성 때문에 국내 프랜차이즈 시장은 경기 부침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예비 창업자들을 양산해 오고 있다.


문제는 외식 프랜차이즈를 필두로 일부 생계형 업종으로 편중되고, 이들 창업 인기업종끼리 과잉 경쟁을 벌이는 탓에 창업 못지 않게 폐업도 속출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돼 '은퇴자의 무덤'이라는 불명예 수식어가 붙어있다는 현실이다.




김 소장은 “개설 마진과 유통 마진 중심의 수익 모델로 단기간에 새 가맹점 출점에만 혈안인 가맹사업 구태은 분명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가맹점을 많이 열지 않아도 업력에 따라 가치를 인정하고, 이러한 사업 모델을 존중하는 풍토가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프랜차이즈 과잉 팽창을 해소하기 위한 시장 관계자들의 자정 노력과 정부 차원의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가맹본부들의 '자발적 쿼터제' 도입과 함께 변별력이 떨어지는 가맹거래사업법을 손질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조언했다.


김 소장은 “시장 규모가 한정된 가운데 가맹본사도 결국 예비 창업주를 대상으로 영업하는 사람들"이라며 “자발적 쿼터제를 통해 '앞으로 1000명의 점주만 모신다'는 방식으로 해당 브랜드의 수명 곡선을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개정 가맹사업법상 가맹본부는 가맹점 모집을 위한 정보공개서 등록 조건으로 직영점 한 곳을 1년 이상 운영해야 한다. 다만, 규제의 허술한 틈을 타 양과 질 모두 충족하지 못한 등록업체가 양산되는데다 인수·명의 이전 등의 방법으로 편법 등록하는 사례마저 발견되고 있다고 김 대표는 꼬집었다.


“직영점 성과 측정도 없이 가맹점 모집을 허가해 신규 브랜드만 난립할 바에 프랜차이즈 진입 장벽을 높여야 한다. 직영 1호점은 기본이고 오피스·대학가·수도권·지방 등 다양한 상권에서 총 직영 3호점까지 운영하는 업력을 갖춘 곳만 가맹점 투자자를 모집할 수 있도록 변경돼야 한다."


아울러 김 소장은 프랜차이즈 시장 진입을 꾀하는 예비 창업자 대상으로 실효성 있는 전문 교육기관의 신설, 정보력이 부족한 프랜차이즈 창업자를 위한 정책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 교육기관 신설과 관련, 김 소장은 “통상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는 기본 창업교육은 1~2시간이면 끝난다. 직장 생활 후 창업시장에 도전하는 예비점주들을 위해 최소한 3년 과정의 창업준비대학이 생기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프랜차이즈 정보 지원 정책도 “창업 관련 부동산·교육 분야 콘텐츠가 매우 취약하다"면서 “예컨대 예비창업자가 어느 부동산이든 상권별 개업·폐업 동향을 살펴볼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결국 실질적 창업 행동에 나서는 주체는 창업자인 만큼 '창업은 인생'이라는 관점으로 인식 전환과 함께 책임감 있는 사업 설계라는 개인적 준비도 병행돼야 한다고 김 소장은 강조했다.


김 소장은 “요즘 같은 고물가·경기불황 시대일수록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지가 창업 시장의 화두"라고 진단한 뒤 “가맹본부는 자선사업자가 아닌 점을 명심하고 투자 전 직영점 성과와 매장 소비자 만족도, 가맹점 연매출액, 지역 매출액, 개·폐점과 양도·양수 등을 꼼꼼히 따져보고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