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월 1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를 강행하겠단 의지를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철강, 의약품 등을 포함한 특정 품목에는 물론 유럽연합(EU)을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할 방침도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31일 백악관에서 규제완화와 관련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캐나다, 멕시코 또는 중국이 지금 (2월 1일로 예정된) 관세를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같은 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관세 부과 시점을 3월 1일로 미룰 수 있다는 보도에 “그 기사를 봤고 그것은 거짓"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방금까지 집무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있었는데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하는 시점이 2월 1일이란 점을 확인해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관세 철회 가능성과 관련해 “대통령이 결정할 일"이라면서 “내일부턴 관세 정책이 시행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 자리에서 향후 수개월 내에 철강, 구리, 알루미늄, 석유, 가스, 의약품, 반도체 등에도 관세를 부과하고 대상국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고 석유와 가스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 이는 2월 18일에 일어날 수 있다"며 “철강에 대해선 높은 관세율을 매길 것"이라고 했다.
그는 다만 25%의 관세를 예고한 캐나다로부터 수입되는 석유에 대한 관세는 10%로 낮추겠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EU를 겨냥한 관세와 관련해 “미국이 상당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관세 부과로 인한 비용이 때때로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관세 부과가 단기적인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는 그러나 관세 부과에 대해 우려하는 금융시장의 반응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