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트럼프 ‘25% 관세폭탄’ 강행…캐나다·멕시코 “보복 관세” 맞불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02 12:19
USA-TRUMP/TARIFFS-MEXICO

▲(사진=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대로 25% 관세 폭탄을 쏘아올리자 관세 대상국인 캐나다와 멕시코도 미국 제품을 상대로 보복성 대응을 시작했다.


블룸버그통신,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미국의 관세 부과 발표 후 엑스(옛 트위터)에 “경제부 장관에게 플랜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며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관세 및 비관세 조치들이 포함됐다"고 적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와 동시에 “문제 해결책은 관세 부과가 아닌 대화"라며 “최근 몇 주간 불법이민에 대해 국무부와 논의를 이어왔다"고 덧붙이는 등 협상을 제안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또 멕시코 정부가 미국에 마약을 유통하는 범죄 조직과 동맹을 맺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을 단호히 거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정부가 펜타닐 문제 해결을 원한다면 거리 판매 금지, 불법 자금 세탁 방지, 멕시코와 같은 대규모 예방 캠페인 등을 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며, 펜타닐 등 합성 오피오이드는 무차별적인 처방에서 비롯됐다고 반박했다.




또 멕시코 정부는 넉 달 만에 2000만회분의 펜타닐을 포함해 40톤이 넘는 마약을 압수하고, 관련 인물 1만여명을 체포했다고 강조했다.



CANADA-US-TRADE-DIPLOMACY

▲보복 관세 발표하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사진=AFP/연합)

캐나다 정부도 즉각 맞대응에 나섰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날 밤 기자회견을 열고 1550억 캐나다달러(약 155조60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300억 캐나다달러 상당의 제품에 대해선 오는 4일에 부과된다. 나머지 1250억 캐나다달러 상당 제품에 대해선 기업들이 대체품을 확보할 수 있도록 2월 말께 부과될 예정이다.


트뤼도 총리는 “관세 대상 품목들은 미국산 맥주, 와인, 식품 및 가전제품 등이 있으며 핵심 광물에 대해서도 조치를 고려하고 있다"며 캐나다 국민들에게 자국산 제품을 구매하고 미국에서 휴가를 보내지 말 것을 촉구했다.


트뤼도 총리는 또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멕시코와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트뤼도 총리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 행정서명 이후 잠시 뒤 “이런 것을 원하지는 않았지만, 캐나다는 준비돼 있다"며 “오늘 주지사들 및 내각과 회동했다. 멕시코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과 곧 통화할 것"이라고 적기도 했다.


캐나다 주지사들도 주정부 차원에서 보복을 예고했다.


팀 휴스턴 노바스코샤주 주지사는 “노바스코샤주는 미국 기업의 주 정부 조달 입찰을 제한하고 기존 계약을 취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 관세를 이유로 입찰을 전면 제한할 수 있는 조항도 유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관세 발효 하루 전인 3일부터 미국산 상용차의 도로 통행료를 두 배로 올리고, 4일부터 주 정부 산하 주류 공기업의 판매 목록에서 미국산 술을 제외하도록 지시하겠다고 예고했다.


데이비드 이비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주지사도 미국의 '레드스테이트'(공화당 강세지역)에서 생산한 주류에 대해 판매 중단에 나서자고 제안했다.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관세 발표는 협상 수단일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글로벌 투자은행 바클리의 가브리엘 카시야스 중남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관세가 지금 당장, 내일 혹은 월요일이 아닌 화요일(4일)에 부과되는 이유는 뭘까"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부과되기 전에 무언가를 원하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