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라면·스낵 시장 1인자 농심의 주가가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과 매출이 뒷받침되는데도 낮은 수익성 때문에 기업 가치가 저평가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투자자들은 경영진의 적극적인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부터 농심 주가는 줄곧 하락세를 타고 있다. 작년 6월경 52주 최고가(59만9000원)를 찍은 후 현재까지 약 20% 넘게 주가가 빠졌다. 올해 들어서만 8% 하락세다.
작년 1~3분기 내내 영업익·순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작년 3분기 누적 기준 영업이익은 14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가량 하락했다. 작년 4분기에도 상황은 녹록지 않아, 증권가에서는 농심의 2024년 연간 영업이익을 1807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전년 대비 14.91% 하락한 수치지만, 이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많다.
그러나 이를 감안하더라도 농심의 주식이 상당 부분 저평가 됐다는 의견이 나온다. 지난 3일 종가 기준 농심의 주가수익률(PER)은 11.98배. 이는 비슷한 사업을 영위하는 주요 식품기업 7개사(농심, 삼양식품, 오리온, 롯데웰푸드, 롯데칠성, 동원F&B, 신세계푸드)의 평균 PER 14.23배를 하회한다. 같은 날 코스피 평균 PER 12.95배에도 미치지 못한다.
우선 증권가에서는 농심의 작년 실적 부진 원인을 내수 시장 침체에서 찾고 있다. 내수 악화로 국내 시장에서 매출이 크게 성장하지 못한데다, 고환율로 원가가 상승한 결과라는 것이다. 실제로 작년 3분기 농심의 누적 매출액은 2조58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6% 성장했지만, 매출원가 역시 1조8467억원으로 5% 가까이 증가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농심의 고질적인 '낮은 영업이익률'이 주가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지적한다. 농심이 국내 라면·스낵 시장 점유율 1위를 공고히 하고 있음에도 4~5%를 오가는 영업이익률이 기업가치 제고를 막는다는 주장이다.
작년 3분기 국내 스낵류 시장에서 농심의 점유율은 31%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라면 시장에서는 55.7%로 과반 이상의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는 중이다.
그런데 동 시기 농심의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은 5.5% 수준에 그쳤다. 이는 같은 라면 사업을 영위하는 샴양식품의 삼양식품 20%, 오뚜기 7.5%에 미치지 못한다. 같은 식품업계 시총 2위 오리온의 영업이익률도 17%에 달한다.
내수 시장에 편중된 농심의 매출 구조도 문제로 지적된다. 삼양식품이 높은 PER과 영업이익률을 유지하는 이유는 성공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에 의한 해외 매출 비중 확대다. 농심 역시 작년에 비해 해외 시장 매출 비중이 커졌지만, 여전히 내수 매출 비중이 60%에 달해 성장성이 제한됐다.
각 증권사 리서치센터도 농심보다는 라이벌 기업에 좀 더 투자가치를 두고 있다. 올해 들어 현대차증권(52만원→46만원), 키움증권(52만원→49만원), IBK투자증권(55만원→45만원) 등이 농심의 목표주가를 각각 하향했다. 반면 삼양식품의 목표주가는 KB증권(75만원→88만원), 한국투자증권(77만원→92만원), 하나증권(75만원→90만원), 교보증권(71만원→97만원) 등에서 상향했다.
이에 뿔이 난 것은 농심의 소액 주주들이다. 높은 시장 점유율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개선되지 않고, 주가마저 하락세를 타자 주주가치 제고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해당 주장에 따르면, 농심 측이 우선 면, 스낵, 음료 등 각 사업부별로 단순 매출 외 수익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공개해야 하며, 성과가 떨어지는 사업부를 정리해야 한다. 가장 문제시 되는 것은 농심의 생수브랜드 '백산수' 사업이다. 농심의 작년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백산수 매출이 포함된 기타사업부 매출은 4201억원으로 전년 동기(4315억원) 대비 감소한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흑자를 내는 지 알 수 있는 자료도 없다.
이를 포함해 농심이 구체적인 수익성 목표를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포함하고, 경영진의 보수도 경영 성과와 연동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언락킹 밸류(Unlocking Value)'라는 명칭을 쓰는 익명의 주주는 “글로벌 동종기업 평균 수익성(8% 이상)을 달성한다면 글로벌 동종기업 평균 PER 18배에 거래될 가능성이 있다"며 “농심의 과거 평균 PER 15배에 거래되더라도 수년 내 농심의 잠재 시가총액은 4조원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는 현 시가총액(3일 기준 2조1000억원대)의 두 배 규모"라고 밝혔다.
농심의 수익성 문제로 주가 뿐만 아니라 배당이 크게 성장하지 못하는 것도 이같은 주주가치 제고 요구가 나오게 된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3일 농심은 보통주 1주당 500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한 바 있다. 일견 큰 금액인 듯 보이나 농심이 이미 수 년째 배당금 5000원을 고수하고 있는데다, 3일 종가 기준 배당수익률은 1.40%로 코스피 평균 2.01배에 미치지 못한다.
하희지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해외 미국 월마트 메인 매대 이동, 2공장 용기면 라인 가동 시작됨에 따라 성장성 양호"라면서도 “경기 부진 영향 및 국내외 프로모션비·인건비 등 일회성 비용 증가함에 따라 수익성 부진 이어지는 점은 아쉽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