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사외이사 관련 업무협약](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13.d6e5fd8a4c4f4f048d141df8e0c0f3d4_P1.jpeg)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3일 서울 한국금융연수원에서 열린 사외이사 양성 및 역량 강화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고석헌 신한금융그룹 부문장,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이복현 금감원장,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이찬우 NH농협금융 회장, 이준수 한국금융연수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이준수 금융연수원장,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사외이사 양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금융회사가 올바르게 지배구조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사외이사가 균형감 있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금융연수원은 맞춤형 사외이사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지주, 은행들이 적극 참여, 활용하도록 협업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금융연수원 본관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준수 한국금융연수원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고석헌 신한금융지주 부문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찬우 NH농협금융지주 회장과 이러한 내용의 MOU를 맺었다.
이번 MOU는 이사회 의사결정 전반에 전문성,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금융연수원은 사외이사를 대상으로 경력, 연차에 맞는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필요 지식, 주요 이슈, 금융감독 정책 방향 등을 공유한다.
사외이사 선임 희망자 등 예비이사에는 금융사, 이사회 구성 및 역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외이사 선임 후 원활하게 이사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신임이사에는 사외이사로 알아야 할 이사회 운영 관련 법, 재무 분야 등 필수 지식과 경영진에 질문해야 할 주요 포인트를 습득한다. 재임 중인 사외이사에는 매해 주요 금융사고 사례와 금융감독 정책 방향 등 주요 이슈를 공유한다.
금융지주, 은행들은 사외이사 지원 사업을 안내하고, 체계적인 연수계획을 수립해 사외이사 교육을 위한 충분한 시간과 자원을 부여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유관기관 CEO들은 '지배구조 선진화'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사외이사 교육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번 협약식은 사외이사의 업무 주기에 맞춰 개편된 새로운 연수 프로그램을 이사회와 금융회사가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사외이사 양성과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인프라 조성을 도모하고자 마련됐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사회의 전문성 함양은 단순히 사외이사 개인의 역량개발을 넘어 금융사 차원의 균형감 있고 투명한 의사결정을 이루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은 “금융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투명하고 책임있는 경영이 필수적"이라며 “사외이사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 내실있게 운영돼 금융지주사 지배구조가 상향 평준화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준수 금융연수원장은 “이번 협약은 이사회 역량 제고와 지배구조 선진화를 위해 우수한 사외이사 양성에 금융당국, 금융그룹, 연수원이 함께 힘을 모았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해외 지배구조 평가기관에서는 우리나라에 양질의 체계적인 이사회 교육 프로그램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데, 이번 협약이 이러한 비판을 해소하고, 기업가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은 이번 프로그램이 지배구조 개선을 비롯한 기업가치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양종희 KB금융 회장은 “이번 연수를 계기로 이사회 전문성을 강화해 KB금융그룹 밸류업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금융그룹의 지배구조를 어떻게 선진화할지, 이사회가 본연의 기능을 어떻게 어떻게 잘 수행할지는 금융 산업의 건전한 성장, 경쟁력 강화, 이를 위한 핵심적인 과제들"이라며 “우리금융그룹은 사외이사들의 원활한 직무 수행을 위해 연수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 중이나, 조금 더 높은 수준의 교육에 대한 갈증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금융연수원이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관계기관 합동으로 협약을 맺은 건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우리금융은 그룹사의 모든 사외이사, 사무국 직원들까지 해당 프로그램에 활발하게 참여해 지배구조 선진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이 원장 덕분에 국내 금융지주사를 향한 해외투자자들의 시각이 달라졌다고 추켜세웠다. 함 회장은 “해외투자자들을 만나면 밸류업 질문이 가장 많은데, 과거 만났을 때 분위기와 정말 다르다는 걸 많이 느낀다"며 “그 중심에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한 이복현 원장 덕분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달 3일 취임한 이찬우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은 이날 협약식이 취임 후 첫 공식행사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찬우 회장은 “이번에 마련된 프로그램에 이사진들이 적극 참여해 전문성 있는, 효율적인 이사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