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일 서울 성북구 안암동 리첸카운테 호텔을 리모델링한 청년 임대주택인 '안암생활'에서 이정헌 국정기획의원과 청년 입주민들의 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이재명 정부가 청년 임대주택 현장 방문 첫 일정으로 서울 성북구 안암동 '안암생활'을 찾았다. 관광호텔을 개조해 청년 임대주택으로 개조한 대표 단지인 안암생활이 청년 주거 문제를 해결할 모범적인 미래 모델로 주목을 받고 있다.
12일 정가 등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는 지난 10일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임대주택인 '안암생활'을 방문해 공유 오피스 등 시설을 둘러보고, 입주 청년들과 현장간담회를 실시했다.
'안암생활'은 방치되던 관광호텔을 2020년에 리모델링한 단지다. 2013년 안암동에 지어진 '리첸카운티 호텔'이 기원이다. 준공 당시엔 주택으로 사용승인을 받았다가 한류 붐으로 관광산업이 붐을 일으키자 호텔로 전환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관광객 입국이 끊기면서 호텔은 2020년 개점휴업 상태에 놓였다.
이에 정부가 도심 관광호텔을 청년 임대주택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LH가 매입을 결정했다. 2020년 6월부터 5개월 간 220억원을 투입해 리모델링을 거쳐 122세대 규모로 그해 11월 준공됐다. 2020년 12월 입주자를 받기 시작한 안암생활은 인근 안암동에 위치한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임대주택으로 각광받고 있다.
우선 저렴한 임대료가 강점이다. 보증금 100만원에 월 임대료는 27∼35만원 수준이다. 안암동 일대 원룸 평균 월세 시세가 보증금 200만원 이상에 월 임대료 40만원~80만원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가격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다.
여기에 안암생활은 청년들이 선호하는 공유 주방, 코워킹 스페이스, 공유 회의실 등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을 갖추고 있다. 호텔 건물을 개조한 만큼 넉넉한 공유공간을 활용한 공동체 활동이 활발해 대학생들로부터 인기가 높다.
대학생들이 스마트폰에 익숙한 세대라는 점을 고려해 입주민 전용 앱을 활성화시킨 점도 트렌드에 들어맞았다. 입주민 122명은 앱을 통해 주차부터 분리수거 같은 실거주 문제 해결은 물론이고 중고 물품 거래와 커뮤니티 소통까지 원스톱 생활을 누리고 있다.
신설동역 도보 7분, 안암역에서 도보 12분 거리로 역세권 입지인 점도 높은 선호도의 배경이다.
이재명 정부가 청년 대상 임대주택 공급 확대 정책을 공약으로 내건만큼 안암동 일대 대학생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안암생활'이 청년 주거 문제 해결의 모범사례로 귀감을 받고 있다.
한 고려대학교 재학생은 “고대 뿐만 아니라 인근의 성신여대와 한성대까지 월세 거주를 하고 있는 학생들은 대부분 일단 안암생활 입주 신청을 걸어놓고 자리가 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안암생활처럼 실거주가 편한 곳의 호텔을 개조해서 시설이 깨끗하고, 임대료가 저렴한 청년 임대 주택이 더욱 많이 들어섰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