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13.a59c96fd46da44dbbaefda6f399d5c56_P1.jpg)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13일 서울 한국금융연수원에서 열린 사외이사 양성 및 역량 강화 업무협약식에서 대화하고 있다.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금융위원회(당국)을 잘 설득할 예정이다."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13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융연수원 본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동양생명, ABL생명 인수 관련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임 회장은 지난주 금융감독원의 검사 결과에 대해서는 “금감원이 검사한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임 회장을 포함한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만나 사외이사 양성 및 역량 강화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번 협약은 금융연수원이 사외이사 경력, 연차에 맞는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금감원은 금융연수원이 마련한 맞춤형 사외이사 교육 프로그램을 지주, 은행들이 적극 참여, 활용하도록 하는 협업안을 모색한다. 금융지주사, 은행들은 사외이사 지원 사업을 안내하고, 체계적인 연수 계획을 수립한 후 사외이사 교육을 위해 충분한 시간과 자원을 부여한다.
임 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이 원장 옆자리에 앉아 대화를 주고받는 등 어느 때보다 화기애애한 분위기였다. 이 원장과 임 회장 간에 관계에 미묘한 긴장감이 돌고 있다는 금융권의 전언과는 다른 분위기였다. 특히 임 회장은 이 원장 앞에서 지배구조를 강화하기 위한 우리금융의 노력들을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임 회장은 “우리금융은 2023년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지배구조 모범관행에 따라 사외이사들의 원활한 직무 수행을 위해 연수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조금 더 수준 높은 교육은 없는지 갈증이 있었는데, 우리 금융업권의 최고 연수원인 금융연수원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임종룡 회장은 “앞서 이 원장도 말했지만, 금융그룹이 지배구조를 어떻게 선진화할지, 이를 위해 이사회가 본연의 기능을 어떻게 수행할지는 금융산업의 건전한 성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적인 과제들"이라며 이 원장의 행보에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이번 회동은 이복현 원장이 이달 4일 금융지주 정기검사 결과를 발표한 직후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도가 높았다. 이 원장은 현장 검사 결과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관련 대출 730억원을 포함해 우리은행에서만 총 2334억원 규모의 부당대출을 확인했다고 했다.
임 회장이 동양생명, ABL생명 인수합병(M&A) 안건을 논의하기 위한 리스크관리위원회가 열리기도 전에 해당 안건을 이사회에 부의하기로 미리 결정했다는 사실도 이날(4일) 처음으로 공개됐다. 우리금융 내규에 따르면 M&A 등 중요 경영사항 추진시 리스크관리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받아야 하고, 이 경우 리스크관리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이사회 의사결정에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임 회장은 주식매매계약 당일 리스크관리위원회와 이사회를 불과 20분 단위로 개최해 리스크관리위원회 심의 내용이 이사회 안건에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금감원은 지적했다.
우리금융은 지난달 15일 금융위에 동양생명, ABL생명 인수 승인 심사를 신청했는데, 이 과정에서 금감원의 경영실태평가 등급이 변수로 꼽힌다. 금감원은 정기검사를 기반으로 경영실태평가 등급을 산정하는데, 우리금융의 등급이 현재 2등급에서 3등급으로 떨어질 경우 생보사 인수에 차질이 빚어진다.
생보사 인수는 임 회장과 우리금융지주의 숙원사업이다. 우리금융은 금융당국 승인을 거쳐 생보사 인수를 완료할 경우 전체 포트폴리오 내 은행 의존도를 기존 90%에서 80%로 낮추고, 수익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그러나 결국 인수 승인의 키는 금융당국이 쥐고 있어 우리금융은 당국의 결정만을 기다리고 있다. 생보사 인수 여부가 결정된 이후에도 이 원장과 임 회장이 웃으면서 마주할 수 있을지 주목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