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현 스탠다드에너지 사업본부장이 20일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스마트에너지위크 2025' 전시장에서 자사의 타일형 바나듐 이온 배터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글로벌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 3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전망이 아주 밝습니다. 화재 걱정 없는 바나듐 이온배터리로 세계시장을 개척할 계획입니다."
스마트에너지위크 2025가 열리는 일본 도쿄 빅사이트 배터리 재팬 엑스포 전시장에서 20일 만난 김기현 스탠다드에너지 사업본부장은 ESS에 적용되는 바나듐(Vanadium) 배터리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며 희망찬 포부를 밝혔다.
스탠다드에너지가 9년여 연구 끝에 개발을 완료한 바나듐 이온배터리는 리튬 대신 바나듐을 사용한다. 현재 현지 판매법인인 LB휴넷을 통해 일본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김 본부장은 “바나듐은 원소 자체도 발화성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안에 사용되는 전해액을 물(수용핵)로 만들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한 ESS의 치명적인 단점을 완전히 극복했다"고 설명했다. 물에 기반해 생산된 배터리로 화재 가능성이 아예 없다는 의미다.
김 본부장은 또 “바나듐 이온배터리는 ESS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고효율'도 잡았다"며 “ESS는 에너지를 저장해 필요할 때 끄집어 내 사용하기 때문에 최대 효율을 나타내야 하는데, 바나듐 이온배터리는 97% 이상의 효율을 갖는다"고 말했다.
향후 시장성에 대해선 '장밋빛'으로 내다봤다.
김 본부장은 “현재 ESS가 도서지역 등 외곽에 떨어진 곳에 설치됐다면 앞으로는 도시 안, 상업용 건물 안에 설치, 활용될 것"이라며 “올해 일본 교토 택시회사 영업소에 바나듐 이온배터리가 장착된 ESS가 처음으로 설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스마트에너지는 타일형의 가정용 바나듐 이온배터리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가정에서 태양광으로 전력을 생산한 후 타일형으로 벽에 부착된 바나듐 이온배터리에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자체 사용하거나, 전력시장에 판매하는 시장이 활성화 될 것이라는 기대다.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스마트에너지 2025' 태양광(PV) 엑스포 전시장 전경.
이번 스마트에너지위크 2025에 참여한 한국기업은 LS일렉트릭, 미코파워, 신성C&T, KBIA, PNT 등 약 50여개에 달한다.
전 세계 1600여개사에서 7만명이 넘는 참관객이 참가한 이번 행사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탈탄소 및 탄소중립에 초점을 맞춘 신재생에너지의 전략적 모색과 함께 한층 더 강화된 전문전시를 통해 참가자들에게 보다 심도 있는 정보를 전달했다는 점이다.
특히 '이차전지 엑스포(BATTERY JAPAN)'에서는 앞으로 국제 사회가 겪어야 할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배터리 기술의 가치에 주목해 눈길을 끌었다.
배터리의 개발과 생산을 위한 광범위한 기술, 부품, 소재 및 장치를 망라한 '이차전지 엑스포'에서는 2050년 탄소 배출 제로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재생에너지원을 소개했다.
전시회에서 선보인 배터리 기술은 전기자동차(EV), 산업용 기계, 에너지저장 솔루션, 주거용 및 상업용 건물, 트랙터, 수확기, 관개 시스템, 조명과 같은 농업 장비에서 탈탄소화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는 평가다.
이러한 기술 및 제품은 건설, 농업, 제조와 같은 분야에 혁신을 일으키며 더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을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19~21일 개최된 '스마트에너지위크 2025 ' 전시장에서 참관객들이 제품 설명을 듣고 있다.
이와 함께 BYD, Avio, Hitachi High-Tech Corporation, Denkei, CATL, LS Electric, Kurabo 등 세계 글로벌 기업들이 참가해 행사 기간동안 △고체 배터리 △배터리 연료 및 부품 △제조 장비 및 부대시설 △테스트 및 검사 장비 △평가 장비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EV(전기차) 관련 기술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기술 등을 선보였다.
올해 처음으로 마련된 'BIPV(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월드'도 눈에 띈다.
이는 '태양광 발전 엑스포(PV Expo)'에서 새롭게 개최하는 특별 전문전시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과 관련된 제품, 서비스 및 기술 등을 전시했다.
BIPV는 단순한 판넬을 넘어 건물 구조의 일부로 설계되는 차세대 태양광 발전 설비다. 실제 건물 구성 요소인 바닥재, 유리창, 차양, 통합형 지붕 등의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하고 생성한다.
이번 BIPV 월드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태양전지 일체형 유리 건축 자재 △태양전지 일체형 외벽 자재 △태양전지 일체형 지붕 자재 △전력 변환 및 인버터 △장착 시스템 및 설치 기술 등이 소개됐다. 아울러 실시간으로 맞춤형 비즈니스 미팅도 함께 진행됐다.
행사를 주관한 RX재팬 관계자는 “이번 전시구역 확장과 컨퍼런스에 대한 지속적인 가치 투자는 스마트에너지 업계의 흐름과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노력과 역량을 나타내고 있다"며 “이처럼 에너지 업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이유는 비즈니스 성장과 성공을 위해 양질의 혁신과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며, 이는 전시회가 가지는 최우선 과제이기도 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