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youns@ekn.kr

김연숙기자 기사모음




“스마트에너지위크, 아시아 허브 전시회로 발돋움…탄소중립 해법 찾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20 10:39

오가사하라 RX재팬 사무국장, 기자간담회서 개최 의미 밝혀

가장 큰 성과 ‘수소연료전지 엑스포’, 가장 주목 전시회 ‘BIPV 엑스포’ 꼽아

9월 마쿠하리 메세서 가을 전시회…“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의미 담을 것”


444

▲오가사하라 노리히로 RX재팬 사무국장dl 19일 스마트에너지위크 2025 전시 및 컨퍼런스가 열리는 도쿄 빅사이트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행사의 의미 등을 설명하고 있다.

[일본 도쿄=김연숙 기자] “자국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이용하는 방안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다양한 현실적인 제약이 따릅니다. 스마트에너지위크를 통해 그 해법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가사하라 노리히로 RX재팬 사무국장은 19일 스마트에너지위크 2025 전시 및 컨퍼런스가 열리는 도쿄 빅사이트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전시회 주관사인 RX재팬 행사 책임자로서 “특정 참가사만, 혹은 특정 방문객만 만족하는 전시회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전 세계 1600여개 참가기업, 7만2000여 명의 방문객 모두가 만족하는, 윈윈하는 행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마트에너지위크 행사는 특히 '아시아의 허브 전시회'로서의 위치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렇게 때문에 일본뿐 아니라 한국, 대만, 중국 등 전 세계 바이어들이 전시회를 통해 많은 성과를 이뤘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전했다.


올해 스마트에너지위크 2025 행사에서도 메인 주제인 수소 및 연료전지를 다루는 'FC 엑스포'가 가장 큰 성과를 이룬 것으로 평가했다. 수소산업 분야 전시 참가사도 예전에 비해 확대됐다.




오가사하라 사무국장은 올해 가장 주목할 전시회로 태양광건축물 관련 전시회인 BIPV 엑스포를 꼽았다.


그는 “건축 관련 태양광 발전 산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일본의 제7차 발전계획에서 근본이 되는 발전은 '태양광'이라는 점을 확실히 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전시회에서도 태양광을 중심으로 주택, 건축물 등의 신재생에너지화에 중점을 두게 됐다"고 설명했다.


현재 일본에서는 태양광에 이어 풍력, 그 중에서도 해상풍력발전에 대한 선행투자가 많이 이뤄지며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55

▲오가사하라 노리히로 RX재팬 사무국장(오른쪽)이 19일 스마트에너지위크 2025 전시 및 컨퍼런스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에 답을 하고 있다.

올해 스마트에너지위크에 참가한 한국기업은 약 50개 정도로 파악됐다.


오가사하라 사무국장은 “한국기업의 경우 지난해와 비교해 태양광 분야 기업들의 참여는 그대로 유지됐고, 대신 배터리 산업 분야 참가가 크게 확대됐다"며 “올해 전시회에서는 기존 참여 계획을 일찌감치 넘어서 기업들의 추가적인 참가가 많아 관심도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스마트에너지위크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모든 산업을 3일간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 세계 유일한 전시회"라며 “한국, 일본은 물론 유럽에서도 대거 참가하고 있어 바이어와의 접점을 만들기 좋은 행사"라고 평가했다.


올해 한일 양국 간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전시회도 준비 중이다.


오가사하라 사무국장은 “그동안 진행한 전시회와 더불어 다양한 컨퍼런스와 연계해 보다 발전적인 프로젝트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스마트에너지위크와 탄소중립을 결합한 전시회가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인데, 한국의 여러 기업들이 꼭 참가해 성과를 이뤘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특별히 한국 배터리 메이커 기업들의 참여를 당부하기도 했다.


그는 이어 “올해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이다. 오는 9월 마쿠하리 메세에서 열리는 가을 행사에서는 양국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한국 기업들에게 보다 맞춤형 전시가 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