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원가 비율 급등, 부동산 경기 불황 계속
서울마저도 사업성 낮은 곳 재건축 어려워져
“강남·한강변 빼고 재건축 사업 진행 힘들어"

▲서울 내 한 재건축 아파트 공사 현장 전경. 김다니엘 기자
공사비 급증으로 인해 재건축시 수억원에 달하는 추가 분담금 폭탄이 현실화되면서 속도를 내던 재건축 사업이 정체되고 '될 곳만 되는'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23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건설공사비지수는 130.18로 공사비 급등이 시작되기 전 시점인 2020년 12월(102.04) 대비 무려 27.6%나 상승했다.
공사비가 급등으로 인해 건설사들이 재건축 조합에 수억원 수준의 추가 분담금을 요구하면서, 일부 현장에서는 건설사와 조합 간 분쟁이 커져가고 있다. 올해 6월 입주가 예정된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시공사인 GS건설은 신반포4지구재건축정비사업 조합을 상대로 지난해 12월 약 4900억원의 추가 공사비를 요구했다. 만약 증액이 받아들여진다면 조합원 1인당 지급해야하는 추가 분담금은 3.3㎡(평)당 약 797만원으로, 국민 평형인 전용 84㎡를 기준으로 하면 약 2억7900만원에 달한다.
그러나 공사비 지급 문제에 대한 이견이 계속되자 GS건설은 서울시에 중재요청을 하는 한편, 금융비용과 물가상승분 2571억원에 대해 서울중앙지법에 공사대금 소송을 제기했다. 조합 측 또한 가만히 있지 않았다. 조합은 GS건설이 지난해 10월 설계변경·특화 등에 따른 추가 공사비 명목으로 1234억원을 요청했다가 두 달 만인 12월 2288억원으로 증액한 점을 꼬집으며 한국부동산원에 공사비 검증을 요청했다.
이처럼 건설사와 발주처 간 갈등이 전국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 공사비 상승으로 매출 원가율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주요 건설사들이 재건축 사업에 흥미를 잃고 있다는 의견 또한 제기된다. 실제 2024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 중 현대건설과 금호건설의 지난해 매출 원가율은 각각 100.6%와 104.9%(이하 잠정 실적 기준)로 집계됐다. 매출 원가율은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매출 원가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이 비율이 100%를 넘었다는 것은 회사가 벌어들인 돈 대비 지출한 금액이 더 많다는 뜻이다. 이밖에도 대우건설(91.2%)GS건설(91.3%)·HDC현대산업개발(90.9%)·삼성물산 건설부문(89.4%)·DL이앤씨(89.8%) 등 대기업들의 매출 원가율 역시 처참한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수억원대에 달하는 추가 분담금과 시공사·발주처 간 갈등으로 인해 앞으로 예정된 재건축 사업들이 순탄치 않은 길을 걷게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공사비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재건축 사업에서 조합원들이 지급해야하는 추가 분담금은 필수가 돼버렸다"며 “수억원에 달하는 추가 분담금에 금전적 부담감을 느끼는 조합원들에 더해 갈등을 겪느니 차라리 재건축을 하지 않겠다는 이들까지 있어 향후 진행되는 재건축 사업들이 매끄럽게 진행될지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공사비 인상으로 인한 추가 분담금이 향후 재건축시장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추가 분담금 문제는 현 상황에서 가장 큰 변수이자 리스크다"라며 “사실상 강남권 및 한강벨트 지역을 제외하고는 재건축 사업 진행이 힘들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공사가 들어간 사업장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진행해야겠지만, 현재 일어나고 있는 갈등이나 추가 분담금 액수를 지켜보고 있는 다른 지역 조합원들은 차라리 재건축을 하지 않는 것이 낫다는 말을 한다"며 “애당초 재건축 사업을 시도도 못하는 단지들이 늘어날 것이며, 공사비 인상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재건축시장에서도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