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연정 파리바게뜨 마케팅본부장이 27일 새로 출시하는 프리미엄 건강빵 브랜드 '파란라벨'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조하니 기자
SPC그룹 파리바게뜨가 '밥만큼 든든한 빵'을 콘셉트로 내건 프리미엄 건강빵 브랜드 '파란라벨'을 공개했다.
즐겁게 건강을 지키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맛과 건강의 즐거움 동시추구)', 천천히 늙는 '저속 노화' 트렌드에 발맞춰 맛과 영양까지 다잡은 건강빵으로 베이커리 신시장을 열어나가겠다는 사업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27일 서울 동대문구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린 파리바게뜨 파란라벨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김연정 파리바게뜨 마케팅본부장은 “건강 이상 등 특별한 이유가 없더라도 일반 소비자가 원하는 맛과 영양으로 제품을 즐길 수 있어야한다"면서 “건강하면 맛이 없을 것이란 고정관념을 깨겠다"고 건강빵 대중화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날 출시한 파란라벨은 기존 파리바게뜨의 건강빵 제품군에 사용하는 공통 브랜드다. 명칭은 브랜드 상징색인 파란색(BLUE)을 영문 대신 한국어로 표현해 파리바게뜨 단어와 음성적 운율을 맞추고, 고급 제품을 뜻하는 라벨을 조합한 것이다.
브랜드 출시와 함께 첫 선보이는 제품은 △노르딕(북유럽식) 베이커리 4종 △식사대용빵 5종 △샌드위치 4종 총 13종이다. 고단백·고식이섬유·저당 등 '건강 기능성', 고대밀 스페트밀 등 '건강원료', '건강발효종' 등 3가지 키워드에 초점을 맞춰 제작했다는 회사의 설명이다.
김연정 본부장은 “파란라벨 가격대는 4000~5000원대로 개인 베이커리에서 판매하는 유럽빵류가 7000원대인 점과 비교하면 저렴한 편"이라며 “빵과 샌드위치를 시작으로 향후 쿠키, 케이크 등 선물로 주고받는 제품까지 라인업을 넓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건강빵 대중화를 위해 파란라벨은 거친 식감·짧은 유지력 등 기존 건강빵 단점들을 보완했다. 부드러운 맛을 극대화하고, 빵의 노화 속도를 늦춰 곡물빵 특유의 쉽게 딱딱해지는 성질 등을 극복한 것이 골자이다.

▲27일 서울 동대문구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린 파리바게뜨 건강빵 브랜드 출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시식 메뉴로 나온 건강빵 제품들. 사진=조하니 기자
이를 위해 파리바게뜨는 2020년부터 4년 간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와 산학공동연구를 거쳐 개발한 통곡물 발효종을 파란라벨 전반에 활용했다. 통곡물 발효종은 앞서 개발한 토종 효모(2016년)·상미종(2019년)에 이어 선보이는 파리바게뜨의 3번째 발효기술이다.
호밀을 주원료로 한 헬싱키 사워도우는 SPC 특허 미생물을 혼합해 통곡물 빵에 최적화됐다. 멀티그레인 사워도우는 통밀·호밀·귀리 등 7가지 통곡물 및 씨앗에 특수발효 공정·고온고압 기술을 적용했다고 회사는 소개했다.
영양성분은 주로 단백질과 식이섬유에 집중했다. 현재 라인업에 저당 제품이 있는데, 향후 무설탕 제품 연구 진행도 검토하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파리바게뜨는 파란라벨의 인지도 확대를 위해 방송인 최화정을 브랜드 광고 내레이션 모델로 발탁해 이날부터 유튜브·인스타그램·텔레비전(TV)·라디오 등 여러 채널에서 캠페인 영상을 선보인다.
김연정 본부장은 “판매 목표를 밝힐 수는 없지만 해외 진출 가능성도 있다"면서 “국내 시장 성과를 전제로 향후 한글로 된 빵 브랜드를 수출하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