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김값=금값’ 수급난 대응…식품사 ‘육상김 양식’에 사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3.04 17:47

작년 수출 수요 최대와 달리 이상기후로 해상김 생산 부진
정부 김산업 강화 육상김 개발 본격화, 기업·지자체도 협업
4월 육상양식 공모에 CJ제일제당·풀무원·동원F&B ‘3파전’

풀무원기술원 연구원이 바이오리엑터로 불리는 큰 수조 안에서 재배되고 있는 육상 양식 김을 연구하고 있다. 사진=풀무원

▲풀무원기술원 연구원이 바이오리엑터로 불리는 큰 수조 안에서 재배되고 있는 육상 양식 김을 연구하고 있다. 사진=풀무원

기후 위기 탓에 '해상(바다) 김' 수급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식품업계가 김의 안정된 공급망 구축을 위해 '육상 김' 양식에 사활을 걸고 있다.


김 제품이 식품 수출효자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김 수급난에 따른 김 산업 경쟁력 저하를 막기 위해 정부가 수백억 원 대 지원금을 내걸고 육상 김 육성에 나서자 식품사들도 저마다 지방자치단체와 손잡고 육상 김 종자 및 양식기술 개발에 팔소매를 걷어부치고 있는 모습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수출 확대에 따른 김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과 달리 국내 김 공급량은 저조해 수급 불안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김 수출액은 9억97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5.8%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에 이상기후에 따른 해수온 상승 등으로 해상 김 양식 재배는 줄어들고 있다. 폭증하는 수요와 달리 김 공급량이 지난 2019년 이래 수 년째 50만~60만톤(t)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해수를 활용해 육상에서 재배하는 김 양식 방식이 새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지난 1월 해양수산부가 국책과제로 '2025년도 지속가능한 우량 김 종자생산·육상양식 기술개발사업' 공모를 개시한 가운데, 주요 식품사들은 여러 실증단체 등과 협력 사실을 대외적으로 알리며 경쟁 의지를 보이고 있다.


오는 2029년까지 정부가 추진하는 이 공모사업은 '종자 공급·대량양성 기술 개발(120억원)', '시스템·품질관리 기술 개발(230억원)' 두 가지로 구분해 총 350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올 2~3월 사전검토와 서류·대면 평가 등 거쳐 오는 4월께 최종 지원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번 공모는 기술 상용화·보급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는지가 관건이다. 기업을 포함한 여러 단체로 이뤄진 컨소시엄 구성은 물론, 실증지역·관련 기관 등과 협업체계 구축, 어업인 참여의 실증방안과 보급화 계획 등이 요구된다.


현재까지 대결 구도는 CJ제일제당·풀무원·동원F&B 3파전으로 압축되는 분위기다. CJ제일제당은 최근 전라남도·해남군과 컨소시엄을 구축했으며, 김 관련 기술 개발과 김 산업 육성, 생산물 유통 활성화 촉진을 중점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주요 식품사 '육상 김 양식사업' 추진  내용

주요 식품사 '육상 김 양식사업' 추진 내용

▲자료=각사

국내 대표 김 생산지로 꼽히는 전라남도와 해남의 생산 역량에 CJ제일제당의 기술력을 더해 시너지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이를 위해 CJ제일제당 컨소시엄은 김 종자 개발과 양식 실용화를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김 상품화를 위한 고품질 김 종자 상호연구, 국책과제 공동연구로 만든 원초와 상용 제품의 수매, 유통·판매 촉진 등에 협력할 방침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협약 체결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크게 달라진 내용은 없다"면서 “기존 계획대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풀무원도 새만금개발청·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등 11곳과 컨소시엄을 이뤄 정부 공모사업에 도전한다.


올해 초 해당 단체들과 정부 공모사업 지원과 관련한 전략 회의 등을 진행한 뒤 지난 달에는 '새만금 글로벌 김 육상 양식 사업 성공을 위한 민·관·학 상생업무협약'도 맺었다.


풀무원은 넓은 부지의 군산 새만금 권역을 거점으로 9256㎡(2800평) 규모의 육상 김R&D(연구개발)센터 등 연구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육상 김 양식 기술 매뉴얼화를 통한 지역어업인 대상의 기술 공유는 물론, 지역 어업인이 생산한 원물 매입 등 지역 경제 활성화도 꾀하고 있다.


동원F&B도 가세했다. 현재 제주테크노파크 용암해수센터, 부경대학교, 제주대학교 등과 컨소시엄을 결성해 육상 김의 안정적인 생산과 품질 향상을 위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동원F&B는 마그네슘·칼슘·바나듐 등 광물 성분이 풍부하고, 연중 16도 안팎의 수온을 지녀 육상 김 재배에 적합한 제주 용암해수 특수성을 살려 육상 김 양식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