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는 24일 시청 5층 집현실에서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제1차 보상협의회를 개최하며 원활한 보상 절차 운영을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세종시는 24일 시청 5층 집현실에서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제1차 보상협의회를 개최하며 원활한 보상 절차 운영을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 협의회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세종도시교통공사가 시행자로 참여해 연서면 일원에 약 275만 3,000㎡(약 83만 평) 규모로 조성될 예정인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 조성사업의 일환이다. 이 프로젝트는 오는 2029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보상협의회는 토지보상법에 따라 보상액 평가와 이주대책 수립 등 관련 의견을 듣고 논의하기 위해 시 주관으로 설치된 협의체다. 위원장은 이승원 경제부시장이 맡았으며, 토지소유자 대표 및 시, 한국토지주택공사, 세종도시교통공사 관계자 등 총 12명으로 구성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협의회 운영 방안과 향후 보상 절차 및 일정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협의회를 통해 토지소유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사업시행자와 함께 보상 시기 및 생계지원 대책 등을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승원 경제부시장은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은 우리 시 최초의 국가산단으로서 행정중심도시인 세종이 자족 경제 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세종도시교통공사의 관계자들이 협의회에서 제기된 사항들을 철저히 검토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강조했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은 지난해 12월 보상계획이 공고되었으며 감정평가 및 보상 규모 산정을 마친 후 오는 7월 이후 본격적인 보상이 시작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