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경북 산불’ 공포 끝났다…149시간만에 주불 진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3.28 19:20

여의도 156개 면적 잿더미로, 총 24명 인명피해
동해안 지역 여전히 건조, 추가 산불 가능성 있어
산림청 5월 중순까지 봄철 산불 대책기간 산불 예방

임상섭 산림청장이 28일 오후 경북 의성군 산림청 상황실 앞에서 지난 22일부터 시작된 경북 산불의 주불 진화를 선언하고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이 28일 오후 경북 의성군 산림청 상황실 앞에서 지난 22일부터 시작된 경북 산불의 주불 진화를 선언하고 있다. 산림청

여의도 156개 면적을 잿더미로 만든 '경북 산불'이 149시간 만에 진화됐다.


이번 산불은 역대 가장 큰 규모의 산불로 기록됐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28일 경북 의성지역 산불 브리핑에서 “이날 17시부로 의성, 안동, 청송, 영양 4개 지역의 모든 주불이 진화됐다. 주불 진화가 완료돼 잔불진화체계로 변경한다"며 “산불진화 헬기를 일부 남겨놓고 잔불 진화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주일째 이어진 이번 경북 산불에 따른 산불영향구역은 이날 오전까지 4만5157㏊로 집계돼 역대 최대 산불 피해를 냈다. 지금까지 안동, 영덕 등에서 주민 등 24명이 사망했고, 주택 등 시설 2412곳이 불에 타는 피해를 봤다.


이날 오전 기준으로 실내체육관 등으로 대피한 의성, 안동 등지 주민은 6322명으로 집계됐다.




임 청장은 지난 25일 경주와 봉화에서 발생한 산불에 대해선 “초기 진화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산불 진화를 진화하기 위해 하루 88대 이상의 헬기가 동원됐다. 군에서도 헬기와 인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서 산불 진화에 많은 도움이 됐다"며 “소방청은 주거지역으로 산불이 번지지 않도록 방어선 구축 등 인명피해 예방에, 경찰청은 지역 주민안전을 위해 도로통제와 주민대피에 적극 협조했다"고 밝혔다.


경북 산불이 끝났지만 여전히 동해안 지역 등 주요 산림 지역은 건조한 날씨를 유지하고 있다. 대형 산불이 또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인 것이다.


산림청은 5월 중순까지 봄철 산불 대책기간으로 정해 산불 예방에 나설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