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장하은

lamen910@ekn.kr

장하은기자 기사모음




[특징주] 美 정부의 中 드론 대응법 ‘최대 수혜’…에이럭스, 해외 수출 본격화 기대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1 09:28
에이럭스 CI

▲에이럭스 CI

에이럭스가 1일 장초반 강세다. 드론 핵심 부품을 내재화한 국내 유일한 업체로 해외 수출 본격화로 매출과 마진이 동반 개선될 것이란 증권가 분석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20분 현재 에이럭스는 전 거래일 대비 5.09% 뛴 1만520원에 거래되고 있다.


부국증권에 따르면 에이럭스는 동사는 드론 전문기업으로 소프트웨어(SW)·하드웨어(HW) 모두 내재화를 완료했다.


소형 드론의 핵심 경쟁력인 경량화에 강점을 갖고 있으며 △FC(Flight Control) △동체 디자인 △무선통신 △센서 융합 등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는 고객사별 커스터마이징 가능 및 제품 라인업 확장성을 의미하며, 소형 드론에 있어서는 글로벌 1위 드론 기업 DJI와 동등한 수준의 기술력으로 평가 받고 있다는 후문이다.


김성환 부국증권 연구원은 “동사는 올해 수출 비중을 40%까지 확대하며 미국을 중심으로 해외 수출을 본격화할 것"이라며 “생산능력을 연간 50만대로 확대했다. 이는 매출액 기준 500억원 뮤고다. 원천기술에 기반해 핵심부품인 FC를 중심으로 90% 이상의 부품 내재화를 완료함에 따라 동체 외에도 부품 수출을 병행할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수출용 드론의 영업이익률은 20% 내외로 기존 메인 사업부 대비 2배 가량 높아 전사 마진 개선을 견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미국으로 수출되는 중국 드론 대부분은 비료·농약 살포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으로 지형·지물 유출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지난해 중국 드론 대응법이 미국 하원을 통과하며 DJI 드론 부품의 낮은 호환성·폐쇄성까지 고려하면, 동체와 핵심부품 전반에 걸친 동사의 수혜로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