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현대면세점 동대문점 전경. 사진=현대디에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도 좀처럼 실적을 회복하지 못해 폐점·매장축소 등 긴축경영에 들어간 국내 면세점업계에 구조조정 바람이 거세다.
그러나 현재의 부진 원인이 고환율 등 외부요인 뿐만 아니라 백화점, 균일가 할인점 등 다른 오프라인 점포와 비교해 차별화된 경쟁력이 부족한 탓도 있다는 점에서 향후 긴축경영 외에 새로운 위기타개책이 나올지 주목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면세점은 1일 경영효율화 추진방향을 발표하고 서울 시내면세점 감축계획을 공개했다.
이에 따라 오는 7월 말까지 서울 중구 동대문점을 폐점하고 서울 강남구 무역센터점은 기존 3개층(지상 8~10층)에서 2개층(8~9층)으로 축소 운영할 계획이다.
현대면세점은 앞으로 인천공항점과 무역센터점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는 동시에, 시내면세점 감축에 따라 전환배치, 희망퇴직 등 조직·인력 효율화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현대면세점 관계자는 “이번 경영효율화 추진은 면세산업 전반에 걸친 위기 속에서 사업을 정상화하고 나아가 미래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말했다.
현대면세점을 운영하는 현대디에프는 지난해 매출 9721억원을 기록, 전년대비 2.6% 감소했다. 영업손실도 288억원으로 2018년 설립이래 7년 연속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대면세점을 포함해 국내 면세점 4사는 모두 지난해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롯데면세점(호텔롯데 면세사업부)은 지난해 매출 3조2680억원으로 전년대비 6.1% 성장했지만 영업손실 1432억원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신라면세점은 지난해 매출 3조2819억원으로 11.9% 성장했지만 영업손실 697억원으로 적자전환했고, 신세계면세점을 운영하는 신세계디에프 역시 지난해 매출 2조2694억원으로 6.3% 늘었으나 영업손실은 197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이에 따라 롯데면세점은 이미 지난해부터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고 국내 최대 시내면세점인 서울 송파구 잠실 월드타워점의 영업면적을 줄였다. 신세계면세점도 지난 1월 부산점을 폐점했다.
올해 전망도 그다지 밝지 않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 2월 면세점 방문객은 총 210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7% 줄었다. 면세점 방문객 수가 전년동월대비 감소한 것은 지난 2021년 8월 이후 처음이다.
업계에 따르면 면세점 특히 시내면세점의 부진은 중국 관광객 감소, 고환율 등 외부요인 영향이 크지만 면세점 자체 경쟁력 약화도 한몫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CJ올리브영, 다이소, 무신사 등은 물론 백화점보다 비싼 상품이 많아 면세점 최대 강점인 가격경쟁력을 살리기 어려울 뿐 아니라 품목도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요즘 외국인 관광객은 국내 어느 매장에서 어떤 상품을 가장 싸게 살 수 있는지 사전에 파악하고 입국한다"며 “새로운 차별성을 갖추지 않으면 백화점, 마트 등 오프라인 점포 중에서도 가장 취약한 분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우리 정부가 올해 하반기 한시적으로 중국 단체관광객 비자 면제를 시행할 예정인 점은 기대요인이다.
또한 업체별로 고수익 기획상품(MD) 중심의 상품 재편, K콘텐츠 활용, 고객 다변화 등을 펼치고 있어 향후 성과가 주목된다.
롯데면세점은 지난달 비즈니스 목적으로 방한한 대만 암웨이그룹 임직원 1000여명을 면세점 쇼핑에 유치했다. 신세계면세점은 프랑스 몰트위스키 '미쉘 쿠브어' 한정판 출시 등 럭셔리 상품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국, 태국 등 비즈니스 단체관광객 유치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현대면세점은 인천공항점을 고수익 명품 중심으로 개편한 동시에 오는 7월 폐점하는 동대문점의 고수익 기획상품(MD)을 무역센터점으로 이전시켜 올해 하반기 이후 흑자전환을 이룬다는 목표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대규모 인원보다는 고객당 구매액이 높은 프리미엄 비즈니스 관광객에 집중해 매출 효율을 높이는 전략을 구사 중"이라며 “올해 3분기 예정된 중국 단체관광객 비자 면제가 관광 시장은 물론 면세업계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