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병효

chyybh@ekn.kr

윤병효기자 기사모음




인기 없는 美 알래스카 LNG…트럼프, 관세로 강매 나서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3 06:49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 아시아 순방 별 소득 없이 귀국

빠르고 안정적 공급 강조했지만, 불확실성 크고 가스 수요도 감소세

임은정 교수 “트럼프 개발의지 높아, 관세 압박하며 강제 참여 요구할 듯”

한국·대만·일본 뭉쳐서 미국과 협상해야 효과적, 미 연방정부 개런티 필요

1

▲지난달 26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왼쪽 두번째)가 한국 언론과 인터뷰를 가졌다. 왼쪽부터 제임스 김 암참 회장,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 브렌던 듀발 글렌파른 그룹 CEO, 프랭크 리차드 AGDC 사장. 연합

미국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마케팅을 위해 아시아 순방에 나선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가 대만에서만 의향서를 체결하고 다른 나라에서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아시아 국가들은 사실상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경제성,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알래스카 LNG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어 미국이 아시아 무역상대국을 상대로 관세 압박을 높일 경우 협상을 위해 마지못해 알래스카 프로젝트에 참여 의사를 보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미 협상 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라서 한국, 일본, 대만이 뭉쳐야 한다고 전문가는 조언한다.


3일 로이터 및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는 대략 지난달 20일부터 30일까지 10일간의 알래스카 LNG 마케팅을 위한 아시아 순방에서 사실상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귀국했다.


알래스카주는 첫 방문지인 대만에서 공기업 CPC사와 알래스카 LNG 구매 및 사업 참여에 관한 의향서(LOI)를 체결했지만 이후 방문지인 태국, 한국, 일본에서는 의향서조차 체결하지 못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일본에서 2번째로 LNG를 많이 수입하는 오사카가스의 마사타카 후지와라 사장은 “미국에서 갑자기 LNG를 더 많이 구매하라는 요청을 받더라도 즉시 구매할 여력이 없다"며 알래스카 LNG에 참여 계획이 없음을 설명했다.




마이크 던리비 주지사는 대만 CPC사와의 의향서 체결 이후 그의 소셜미디어 X계정에 관련 소식을 전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에는 태국 주미대사와 함께 찍은 사진만 올렸을 뿐 별다른 소식을 올리지 않았다. 이를 미뤄보면 한국, 일본, 태국에서는 의향서 체결 성과도 거두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던리비 주지사는 한국과 일본에서 최소 의향서 정도는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과 일본은 세계에서 LNG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2,3위 국가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미국 트럼프 정부로부터 강력한 관세 압박을 받고 있기도 하다. 던리비 주지사는 한국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알래스카 LNG 구매 및 프로젝트 참여는 미국 관세 협상과도 연결돼 있다"며 노골적으로 참여를 요구하기도 했다.


매력 없는 알래스카 LNG…높은 불확실성, LNG 수요감소, 캐나다 대안

1

▲지난해 7월 기준 캐나다의 첫 LNG 수출프로젝트인 LNG캐나다의 건설 모습.

그러나 LNG 물량을 구매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은 기업의 몫이다. 한국과 일본 기업들은 알래스카 LNG에 참여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첫 번째 이유는 불확실한 경제성이다. 알래스카 LNG의 사업비는 440억달러(약 64조원)이다. 최대 난관인 1300km의 가스관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북극의 추운 날씨로 인한 건설 어려움과 환경보호대책 등을 감안하면 사업비는 훨씬 더 늘어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두 번째는 LNG 수요 감소이다. 프로젝트가 가동되는 시기는 빨라야 2030년이고, 실 가동 시기는 더 늦어질 수 있다. 전 세계가 탄소감축에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일본도 탄소감축에 따라 뚜렷한 LNG 수요 감소세를 겪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LNG 수입량은 지난해까지 계속 늘었으나 올해 1~2월에는 전년보다 14.2% 감소한 777만톤을 기록했다. 일본 LNG 수입량은 2015년 8851만톤에서 2024년 6589만톤으로 확연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세 번째는 확실한 대안이 있다는 것이다. 알래스카 LNG의 가장 강점은 지정학 리스크가 큰 병목구간을 지나지 않고 아시아로 7~8일 안에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미국 본토산 LNG는 파나마운하를 거쳐야 해 20일가량이 소요된다. 중동산 LNG는 30일가량이 소요되고, 이란과 맞닿은 호르무즈해협도 거쳐야 한다. 던리비 알래스카주지사가 중동산과 비교할 때 가장 강조하는 점이다.


그런데 알래스카 LNG의 강점을 똑같이 가진 대안이 나타났다. 캐나다이다. 캐나다는 모든 천연가스를 미국으로만 수출했는데, 올해 중반에 서부 해안에 첫 LNG 수출기지인 LNG캐나다를 준공할 예정이다. LNG캐나다는 알래스카 LNG보다 조금 더 긴 약 10일이면 아시아 공급이 가능하고, 역시 병목구간이 없다. 캐나다 정부는 아시아 수출을 목표로 연 1400만톤의 제1 LNG캐나다를 준공하고, 이어 같은 물량의 제2 LNG캐나다도 착수할 계획이며, 추가 프로젝트도 준비하고 있다. LNG캐나다에는 한국가스공사(지분 5%)를 비롯해 중국 페트로차이나,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일본 미쓰비시, 영국 쉘이 참여하고 있다.


알래스카 LNG는 불확실성이 너무 크고, 이를 대체할 대안도 확실하다는 점에서 아시아 국가들은 특별히 참여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트럼프 의지가 얼마나 크냐가 최대 변수, 한국·일본·대만 뭉쳐야

다만 변수가 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 무역흑자국을 상대로 강력한 관세 압박을 가하고 있는 가운데, 던리비 주지사의 말대로 알래스카 LNG가 관세 협상과 연결돼 있다면 한국, 일본은 경제성, 필요성이 없더라도 협상을 위해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할 것으로 관측된다.


임은정 공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는 “저의 개인 분석과 미국 인맥으로 알아보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은 알래스카 LNG 개발에 의지가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그는 1기 때도 개발 의지가 있었고, 2기 때는 취임하자마자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며 “트럼프 정부는 단순히 LNG사업만 보는 게 아니라 알래스카 전체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북극항로 패권 확보와 맞닿아 있다. 그 첫 출발이자 핵심을 알래스카 LNG 개발사업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이어 “한국, 일본, 대만은 미국으로부터 강력한 관세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알래스카 LNG 개발에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면 3국은 관세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알래스카 사업에 참여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여기에서 협상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임 교수는 강조했다.


그는 “한국, 일본, 대만이 각기 미국과 상대하기는 힘들다. 3국이 뭉쳐서 미국과 협상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며 “사업의 불확실성을 없애기 위해서는 차기 정권에서도 사업이 이어진다는 연방정부의 개런티, 엑슨모빌 등 미국 에너지 기업의 참여, 강관 공급 등 참여국의 확실한 몫에 관한 약속이 필요하고,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참여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