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태민

etm@ekn.kr

이태민기자 기사모음




尹 탄핵 선고 전후 ‘역대급 트래픽’ 예상…ICT업계도 비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3 11:05
ㄴㄴ

▲KT 엔지니어가 서울 강남구 양재천 인근에 설치된 기지국의 고정 강도를 점검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전후 데이터 사용량(트래픽) 폭증 및 사이버 공격 시도 등 비상 상황에 대한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4일 윤 대통령 탄핵 선고 이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를 중심으로 트래픽 및 통신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핵 찬·반 시위대 모두 헌재 앞으로 총집결할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기지국당 데이터 커버리지는 한정돼 있는데, 용량을 나눠 쓰는 인원이 늘어날수록 네트워크 접속 속도가 줄어드는 구조다.


앞서 지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당시에도 통신·인터넷 연결이 원활하지 않아 포털·메신저 등 일부 애플리케이션(앱)과 유튜브 등 실시간 스트리밍 플랫폼 접속 지연 현상이 발생한 바 있다. 통신 3사에 따르면 당시 트래픽은 평일 동시간대 대비 최대 2배까지 증가했다. 업계는 이번에도 실시간 중계·메신저 서비스 이용이 급증하며 비슷한 현상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에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와 네이버·카카오는 대규모 인파 운집에 대비해 이동기지국과 네트워크를 추가 증설하고,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하는 등 조치에 나섰다.


SKT는 집회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기존 장비 사전 최적화 및 추가 개통, 이동기지국 배치 등을 통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KT는 인구가 밀집될 것으로 예상되는 광화문, 여의도, 부산역 등 전국 주요 장소의 통신망 현황을 점검하고 네트워크·기지국 증설 작업을 진행했다.


이와 함께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비상상황실 운영 등 네트워크 비상 대응 체계에 돌입했다. 네트워크 전문가를 주요 집회 현장 및 통신센터에 배치해 실시간 대응 체계를 운용한다. KT 관계자는 “현장 상황에 따라 이동기지국 등을 추가 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연말부터 광화문·안국역 일대 등 집회 인파가 몰린 곳에 이동기지국, 임시중계기, 발전 장비 등을 설치하고 상주 인력을 배치하는 등 비상 상황에 대한 조치를 취해 왔다. 선고 당일에도 수시로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면서 특이 상황에 대비할 방침이다.


플랫폼업계 또한 탄핵 선고 전후로 커뮤니티·뉴스 등 서비스의 동시 접속자 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안정성 확보를 위한 비상 대응 체계를 가동 중이다.


카카오는 트래픽 변동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서비스 접속 불안정 현상을 막기 위해 서버 등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고, 기술적 조치를 단행했다.


포털 다음(DAUM)엔 주요 기사와 특보, 선고 절차, 그동안의 재판 진행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이슈 포커스' 페이지를 개설했으며, 선고 당일엔 실시간 뉴스 라이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네이버 또한 서비스별로 관련 시스템의 트래픽 가용 상황 등을 사전 점검하는 한편, 비상근무 인력 확충과 실시간 모니터링 등 트래픽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이와 관련 ICT업계 관계자는 “현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기지국을 추가 개통하는 등 집회 상황에 대비 중이며, 다른 사고 가능성도 점검하고 있다"며 “2017년에도 운용 경험이 있고, 지난해부터 예상된 일인 만큼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경찰청은 선고 당일 헌재 인근을 중심으로 역대 최대 인파가 운집할 것으로 관측하고 비상경계령을 강화하고 있다. 이날 헌재와 광화문 일대에서 열리는 탄핵 찬반 집회에는 경찰 추산 약 10만명이 넘는 참가자가 모일 것으로 예측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