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가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프레스 콘퍼런스 2025'에서 신규 서비스 뤼튼 3.0 중심 사업 전략을 밝히고 있다. 사진=이태민 기자
최근 1000억원대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올해 핵심 비전으로 '생활형 AI'로의 진화를 강조했다. 일상밀착형 AI를 통해 업무 생산성 효율 제고를 넘어 실질적인 경제적 이득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거듭나겠다는 취지다.
뤼튼은 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프레스 콘퍼런스 2025'에서 '뤼튼 3.0' 개편 방향과 사업 청사진을 공유했다.
2021년 설립된 이 회사는 지난달 말 총 1080억원 규모로 시리즈B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 이로써 현재 누적 투자 유치액은 약 1300억원으로, AI 플랫폼 분야에선 국내 최초로 누적 투자 유치 1000억원을 돌파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의장 방한 당시 비공개 회동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주목받기도 했다.
이달 말 선보이는 '뤼튼 3.0'은 사용자 모든 대화를 기억하고 감정적 교류도 가능한 AI 서비스다. 현재 500만명대인 월간활성이용자수(MAU)를 1000만명대로 확대하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한 핵심 사업 전략은 △1인 1AI 시대 개막 △성능 업그레이드 △AI 이코노믹스 실현으로 압축된다.
서비스의 핵심은 초개인화 기술로 업무·여가활동을 뒷받침하는 'AI 서포터'다. 이용자 정보를 토대로 최적화된 외형·말투·장기 기억 등을 결합한 감성지수(EQ) 레이어를 통해 AI와 감정적 교류까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기존보다 10배 더 향상된 메모리 성능으로 이용자의 정보 저장 공간과 시간을 확대한 것도 특징이다. 이를 통해 국민 5000만명에게 각 개인에 최적화된 AI를 보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초개인화 기술 향상을 위해 다양한 AI 모델을 서비스 특성에 맞게 골라 사용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택했다. 개발 비용·시간은 줄이면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 자체 모델과 외부 모델을 함께 활용하는 구조다. 챗GPT, 제미나이, 클로드 등 글로벌 빅테크가 개발한 최신 모델을 탑재했다. △이용자 의도 파악 △도구 추천 알고리즘 △최신 AI 모델 활용 △검색 데이터베이스(DB) 현지화 △검색 자동화 모델 등을 통해 사용 만족도를 35%가량 끌어올렸다고 회사는 밝혔다.

▲공혜진 광고(AD)비즈니스 파트장이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프레스 콘퍼런스 2025'에서 AI 재테크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태민 기자
AI 대중화를 앞당기기 위해 앱테크 기능을 강화했다. 함께 도입되는 'AI 재테크'는 기존의 무제한 무료 서비스를 넘어 사용자가 AI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용자가 앱 내 광고 시청, 출석체크, 도구 체험 등 미션 수행을 통해 캐시를 적립할 수 있는 구조다. 향후 캐시 인출·결제 기능도 도입해 서비스 영역을 계좌 연동, 체크카드, 커머스 연결까지 확대 적용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중심으로 구축되는 'AI 이코노믹스 체계'가 핵심 수익모델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앱 활동에 대한 보상 체계를 통해 신규 이용자 유입을 늘리고,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서비스를 다양화해 매출을 만든다는 설명이다.
이동재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체계가 한 번에 맞아떨어지게 구축되지 않을 수 있지만, 이용자 증가세에 따라 테스트와 미션을 추가·삭제·조정하는 과정을 거치며 점진적으로 맞춰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금융 시장 진출 가능성도 열어뒀다. 공혜진 광고(AD)비즈니스 파트장은 “AI 재테크 기능과의 연동을 위해 현재까지 확보한 제휴사는 20~30개 정도며, 모바일·지류 상품권 형태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업체를 우선 공개할 계획"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네이버·카카오 등 기업이 운영하는 페이 서비스와 같은 금융모델로 발전시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세영 대표는 “2년 전 MAU 30만명대를 기록할 때도 우리의 꿈은 'AI 시대의 포털'이었고, MAU 500만명을 넘어서고 있는 현 시점에서도 그 목표는 유효하다"며 “과거 인터넷 전화기에서 모바일로 전환되던 시기에 많은 기업들이 자사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만들었던 것처럼, AI 에이전트 기술이 더 많은 기업에 적용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넥스트 포털'로 키워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뤼튼은 오는 14일 AI 개발 프레임워크 '에이젠티카'와 프론트·사용자환경(UI) 자동화 개발 도구 '오토뷰'를 오픈소스로 공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