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콩고의 한 광산 노동자. 연합
미국과 중국이 코발트 생산 1위국인 민주콩고에서 맞붙고 있다. 코발트는 배터리 핵심광물로, 현재 민주콩고의 생산 대부분을 중국 기업이 맡고 있다. 민주콩고 정부는 중국 영향력을 낮추기 위해 반군 대응에 미국이 도와주면 광물 협력을 확대할 수 있다고 제의하고 있다.
11일 한국광해광업공단 자원정보서비스 및 해외 광업매체에 따르면 미국 정부와 민주콩고 정부는 핵심광물 자원 및 군사 지원 거래에 관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민주콩고는 세계 최대의 코발트 생산국이며 동 ,리튬, 금 등 첨단 기술에 필수적인 광물 자원을 대량 보유하고 있다. 민주콩고는 2024년 기준 글로벌 코발트 생산량 29만톤 가운데 22만톤을 생산해 76% 점유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민주콩고의 광물 자원은 M23 반군의 통제 하에 운영되면서 이로 인해 광물 밀반출이 발생하고 있다.
민주콩고는 미국과 협정을 통해 미군의 군사훈련과 장비를 지원받아 군사력을 강화해 반군을 제압하고 광물 운영권까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민주콩고는 미국에 반대급부로 광산 개발권을 제공할 예정이다. 민주콩고는 이를 통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민주콩고의 10대 코발트 광산 중 5곳에 중국 기업이 참여하고 있을 정도로 민주콩고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크다.
지난 2월 민주콩고 정부는 코발트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4개월간 코발트 수출을 금지시켰다. 하지만 민주콩고 내 2번째로 큰 코발트광산에 참여하고 있는 중국 CMOC사의 1분기 코발트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20.7% 증가한 3만414톤을 기록했고, 동 생산량도 전년 동기보다 15.7% 증가한 17만1000톤을 기록했다. 중국 기업이 민주콩고 정부의 지침을 따르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 기업은 광물 가격 하락으로 경영악화를 겪고 있는 민주콩고 광업회사의 인수도 노리고 있다.
중국 노린코(Norinco)사는 동·코발트 광산을 운영하는 현지 체마프(Chemaf)사의 인수를 추진 중인 가운데 민주콩고 정부를 설득하기 위해 체마프사의 정부 지분율을 비용변동 없이 기존 5%에서 15%로 확대하는 방안을 민주콩고 정부 측에 제시했다. 노린코는 지난해 6월 체마프 인수에 14억달러를 제시했다. 하지만 현지 국영광물기업 게카마인스(Gecamines)와 미국 정부의 반대로 거래가 지연되고 있는 상태다.
핵심광물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중국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폭탄 부과에 따른 보복으로 핵심광물 수출 통제에 나섰다.
중국 정부는 텅스텐, 텔루륨, 비스무스, 인듐, 몰리브덴 등 핵심광물 5종을 수출 통제에 나선데 이어 추가로 희토류 7종도 수출 통제에 포함했다. 핵심광물은 대체로 첨단산업, 우주항공산업, 군수산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수출 통제는 수출 금지는 아닌 수출 허가제를 뜻한다. 중국 정부는 해당 광물이 수입국에서 군사용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한 뒤에야 수출업체에 허가를 내주고 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145%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와 관련해 중국 정부와 협상을 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