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정책을 두고 오락가락 행보를 보이면서 삼성전자, 애플 등 테크 기업들의 불안감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 정부가 스마트폰을 비롯한 전자제품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업계가 한숨을 돌리는 듯 했지만 이를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품목별 관세'로 묶겠다고 예고하면서다.
전자제품도 결국 관세 폭탄을 피할 수 없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재확인되면서 테크 업계가 다시 한번 혼란에 빠진 상황이다. 특히 품목별 관세는 국가 안보에 중요한 제품을 미국에서 생산하는 데 필요한 정책이라 철강, 자동차와 같이 '예외없음'이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상대로 이용한 불공정한 무역 수지, 비금전적 관세 장벽과 관련해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며 “특히 우리를 가장 나쁘게 대하는 중국은 더욱 봐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11일 발표한 전자제품 상호관세 부과 대상 제외와 관련, “금요일(4월 11일)에 발표한 것은 예외가 아니다"라며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고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겨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반적인 전자제품 공급망을 들여다볼 것"이라고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대통령 각서에서 상호관세에서 제외되는 반도체, 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자제품 품목을 구체적으로 명시했고, 관세 징수를 담당하는 세관국경보호국(CBP)이 같은 날 이를 공지했다.
전자제품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삼성, 애플을 비롯한 테크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에상됐었다.
애플의 경우 아이폰 90% 가량이 중국에서 생산되기에 상호관세로 아이폰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중국산 제품에 54%의 관세율이 적용되면 아이폰16 프로 맥스(1TB)는 현재 1599달러에서 2300달러까지 오를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스마트폰의 50% 가량을 베트남에서 생산하는 삼성도 미국에 무관세로 수출할 것으로 예상됐었다. 미국 정부는 베트남에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했고 지금은 90일 유예 조치가 적용된 상태다.

▲아이폰16(사진=AFP/연합)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제품을 품목별 관세 형태로 부과하겠다고 예고하자 결국 삼성과 애플 등 테크 업계는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에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에 다시 놓이게 된 것이다. 이를 두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스마트폰, 노트북을 비롯한 전자제품 관세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혼재된 신호가 새로운 무역 불확실성을 부추긴다"고 이날 보도했다.
테크 및 혁신 싱크탱크 R스트리트 연구소의 애덤 티어러 선임 연구원은 “관세 롤러코스터의 혼란은 계속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품목별 관세는 상호관세와 달리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 업계 우려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이날 ABC뉴스 인터뷰에서 CBP의 상호관세 제외 공지에 대해 “그 제품들은 상호관세를 면제받지만, 아마 한두 달 내로 나올 반도체 관세에 포함된다"며 “품목별 관세는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하는 테크 업계의 리쇼어링(미국으로의 생산시설 복귀) 또한 쉽지 않을 전망이다.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아이폰이 미국에서 생산될 경우 미국 내 판매가가 기존 1000달러(아이폰16 프로 128GB)에서 3500달러까지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미국 정부는 어떤 방식으로든 '애플 지키기'에 나설 수 있어 오히려 삼성이 더욱 비상에 걸렸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아이폰 관세와 관련해 “곧 발표될 것"이라면서 “일부 유연성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