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가 4대 금융지주 중 1분기 실적에서 유일한 역성장을 기록했다. 우리금융은 이번 손실이 대부분 미래 성장 투자를 비롯한 일회성 비용에서 기인했다는 점을 강조하는 한편 향후 신사업과 비은행에서의 도약 의지를 굳건히 했다.
1분기 순익, 전년比 25% 감소…일회성 비용 기인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올해 1분기 전년 동기 보다 25.3% 감소한 6156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하락에 주로 영향을 미친 건 보수적으로 관리한 대손 비용과 올해 1월 희망퇴직 실시에 따른 비용이다.
우리금융의 1분기 판매관리비(판관비)는 1조30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6% 증가했다. 판관비 증가는 올해 초 실시한 은행 명예퇴직 비용 1690억원 등 일회성 요인을 포함하며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줬다.
1분기 그룹 대손 비용은 43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8% 증가하며 손실을 확대했다. 기업회생 신청 차주와 책준형 신탁 사업장 점검 과정에서 240억원의 선제적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약 630원의 일회성 대손 비용이 발생했다.

▲우리금융그룹 판매관리비 및 대손비용 추이.
다만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이 나란히 증가하며 기초체력은 입증했다. 그룹의 1분기 이자이익은 2조25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늘었다. 비이자이익은 3580억원으로 같은 기간 2.0% 성장했다. 순영업수익은 2조6100억원으로 전년보다 2.4% 개선됐다. 수수료이익도 5000억원을 웃돌았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 평가 등 관련 이익이 증가했으며 WM·카드·리스 등의 증가에서 기인했다.
자본적정성도 선방했다. 3월 말 그룹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2.42%로 전분기보다 약 30bp 상승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그룹 0.69%, 은행 0.32%로 전년동기보다 소폭 증가했다.
우리금융은 증권사 출범, 데이터센터 투자, 알뜰폰 준비 등 미래성장을 위한 신사업 투자를 늘리면서 관련 비용도 늘었다는 설명이다. 이성욱 우리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지난 25일 실적발표 후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 “판관비에는 지난해 출범한 증권사 영업력 강화를 위한 비용, 뉴 원 뱅킹, 증권사 MTS 등 디지털 IT 투자 확대에 쓰였다"고 설명했다.
비은행 약진 위한 포석…“보험사 인수 후 순익 10% 증액"
우리금융은 현재 보험사 인수와 증권사 기반 확대 등 비은행분야에서의 약진을 위해 기반을 닦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 부사장은 “산업 다각화를 통한 이익 성장과 안정성 제고도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우리투자증권은 지난 3월 투자 매매업 본인가 획득, MTS 출시 등으로 본격적 영업을 위한 준비를 마쳤고, 그룹 내 전 IB 조직이 여의도로 이전함으로써 시너지 창출에도 힘을 얻게 됐다"고 부연했다.
현재까지는 비은행 수익성이 낮아 그룹 성장성에 기여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실제로 1분기 계열사 실적은 우리카드를 제외하고 대부분 부진했다. 우리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19.9% 감소한 6331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한 가운데 우리금융캐피탈과 우리투자증권은 각각 -6.1%(310억원), -92.3%(10억원)씩 하락한 순이익을 나타냈다. 우리카드 순이익은 3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했다.
우리금융은 보험사 인수에 따른 자본비율 하락에 대해선 선을 긋는 한편 향후 순이익 증가에 대해 전망했다. 회사는 지난 1월 자회사 편입 승인 신청서를 접수해 현재 금융위원회 심사를 기다리는 중이다. 이 부사장은 “보험사 인수가 완료될 경우 최종 재무 역량은 여러 가지 금융 환경 변화나 상황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지만 그룹 자본 비율 영향은 크지 않으면서 현재 당사 당기순이익의 약 10% 수준 증액 및 약 1%p 수준의 자기자본이익률(ROE) 개선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성장을 위한 투자에 비용을 늘린 만큼 향후 증권사와 보험사를 통한 비은행 강화에 집중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 부사장은 향후 보험사 운영에 대해 “사업 경쟁력이 있는 회사로 성장시킬 계획으로 인수 후 킥스 비율을 비롯한 재무 건전성 개선을 최우선 경영 목표로 안정적 사업 구조를 구축하는 데 우선할 것"이라며 “지주나 그룹 차원의 자본비율을 추가 부담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투자증권은 IB와 디지털 강점을 가진 균형 잡힌 사업 모델을 통해 본업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 부사장은 “IB와 세일즈트레이딩 등 조직을 구성하고 사업을 현재 확대해 나가는 단계"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