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핀테크 기업.
주요 핀테크 기업들이 잇따라 흑자 달성에 성공하며 수익성이 가시화되고 있다. 핀테크 기업들의 혁신 서비스를 찾는 이용자 수가 많아지며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핀테크 기업 핀다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5% 늘어난 29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월 출시한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가 인기를 얻으며 대환대출과 주담대를 합한 약정액 규모가 전년 대비 109% 급증했고, 개인사업자 대출 누적 약정 금액도 1조원을 돌파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영업적자는 63억원, 당기순손실은 43억원을 기록했지만, 전년과 비교해 52%, 82% 각각 감소했다. 핀다는 지난해 월, 분기 기준 흑자 전환에 성공한 상태다. 지난해 7월과 8월에 각각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했고, 지난해 4분기에는 순영업이익 2309만원, 당기순이익 2억4376억원을 기록했다. 핀다의 대출 중개 서비스의 대출 실수요자가 늘어나고 충성 고객의 재방문율이 늘어나며 실적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뱅크샐러드 또한 매출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2022년 마이데이터를 정식 도입한 후 지난 3년 동안 꾸준히 성장하며 지난해 매출(영업수익)은 196억원으로 전년 대비 189% 증가했다. 당기순손실은 136억원을 기록했지만, 전년 대비 42% 축소된 규모다. 주식보상비용(63억원)을 제외하면 당기순손실은 73억원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뱅크샐러드는 파악한다.
지난해 11월 뱅크샐러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7% 늘어나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월 손익분기점(BEP)을 달성했다. 첫 흑자 전환이다. 뱅크샐러드에 따르면 2023년부터 매 분기 실적 상승이 나타나고 있다. 2023년 1분기에서 지난해 3분기까지 매출 규모는 1년 반 만에 5배 성장했다.
뱅크샐러드는 금융상품 중개 서비스가 빠르게 성장해 지난해 대출 실행액이 전년 대비 240% 늘었다고 설명했다. 또 카드 발급량 증가, 보험 진단 서비스 등이 인기를 끌며 수익 다각화가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가 2015년 앱을 내놓은 지 10년 만에 첫 연간 흑자 전환에 성공한 점도 고무적이다. 토스와 자회사 매출을 포함한 연결 기준 작년 영업수익은 1조9556억원으로, 전년 대비 42.7% 성장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907억원, 당기순이익은 213억원이었다. 토스는 지난해 3분기 연결 기준 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사용자 기반 확대에 힘입어 토스의 송금, 중개, 광고 등 컨슈머 서비스와 자회사들의 고른 성장이 수익 확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별도 기준으로 봐도 지난해 영업이익 115억원, 당기순이익 480억원으로 첫 연간 흑자를 기록했다. 영업수익은 전년 대비 74.6% 성장한 5871억원으로 집계됐다.
핀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마이데이터 등을 활용한 서비스 고도화에 나서고 있는 데다, 사용자들의 서비스 수요도 커지고 있어 수익 확대는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수백개에 이르는 핀테크 기업들이 모두 다 수익을 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주요 기업들은 매출 확대가 나타나고 있다"며 “서비스에 대한 수익성이 입증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