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행복나눔재단이 14일 기업 사회공헌 네트워킹 행사인 '2025 세상파일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사진=SK행복나눔재단
기업 사회공헌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SK행복나눔재단은 14일 '2025 세상파일 라운드테이블'을 열고, 사회공헌 담당자 간 네트워킹과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SK행복나눔재단이 주관하는 기업 사회공헌 네트워킹 행사로, 올해로 6회째를 맞았다. '기업 사회공헌, 지속가능한 변화를 고민하다'를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30여 명의 기업 및 기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행사는 임팩트스퀘어 도현명 대표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세상파일팀의 사회변화 프로젝트 사례 발표와 네트워킹 세션으로 구성됐다. 도 대표는 “100대 기업의 사회공헌 사업 기간이 평균 4년 미만으로 여전히 단기적인 접근이 많다"며 전략적 설계, 성과관리, 협력적 접근 등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세상파일팀 이상현 본부장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조건으로 솔루션, 전달 체계, 재원을 제시하며 “사업 종료 후에도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지속가능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 서비스 연계, 비즈니스 모델 구축, 소셜펀딩 등을 해결 방안으로 소개했다.
프로젝트 사례 발표에서는 점자 문해력 향상과 휠체어 이동정보 제공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어졌다. 여혜진 매니저는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점자 학습 프로그램 '점프 jump' 운영 사례를 공유하며, 민간 점자교육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운영 지속 가능성을 설명했다.
김선홍 매니저는 휠체어 사용자 맞춤 이동정보 제공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관련 앱 서비스인 '장애인 보행지도'와 '위버스'를 통해 외출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공공기관 및 지자체 협력, 민간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통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지막 네트워킹 시간에는 참석 기업·기관이 자사의 사회공헌 활동과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을 공유하며 협력 가능성을 타진했다.
이상현 본부장은 “효과적인 사회변화를 넘어서, 그 변화가 지속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중요하다"며 “이번 논의가 실질적인 협력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