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생명.
1분기 주요 보험사들의 실적이 대체로 1년 전보다 감소한 가운데 삼성생명은 2.1% 증가한 6353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다양한 건강상품과 담보를 내놓으면서 보험업계 건강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점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생명은 고수익 건강보험 판매를 늘려 중기 주주환원율을 5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올해 연말 킥스비율 180% 목표"
1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1분기 연결 지배주주 당기순이익 635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수치다. 매출액은 6조3272억원, 영업이익 75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1.0% 각각 늘었다.
삼성생명 순이익이 성장한 것은 보험 및 투자손익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보험손익은 보험계약마진(CSM) 상각익 증가와 예실차 개선에 힘입어 2779억원을 달성했다. 1년 전(2682억원) 대비 3.6% 증가한 수치다. 투자손익은 안정적인 이자수익 및 연결손익 증가에 힘입어 0.3% 증가한 5646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신계약CSM은 6578억원이었다. 신계약CSM 가운데 건강상품 비중은 지난해 1분기 53%에서 올해 1분기 74%까지 확대했다. 삼성생명이 다양한 건강상품, 담보 공급에 주력한 점이 건강상품 비중 확대로 이어졌다. 삼성생명은 지난해 생명보험업계 가운데 가장 많은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하기도 했다. 삼성생명 측은 “올해 4월에는 업계 최초로 중입자 방사선 치료 특약을 출시하며 생·손보 건강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3월 말 현재 CSM은 13조3000억원으로 작년 말(12조9000억원) 대비 4000억원 늘었다.
삼성생명은 올해 종합건강시장을 공략해 타깃 고객별로 맞춤형 상품을 다변화할 방침이다.
생명보험의 고유 강점인 종신보험, 만기환급형 상품을 출시하고, 시니어케이, 건강리워드 등 건강관리 및 증진 서비스를 통해 비가격 경쟁력도 제고한다는 구상이다.
삼성생명은 올해 3월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을 180% 수준으로 예상했다. 작년 말(185%)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금융당국 권고치(150%)를 상회했다. 올해 말까지 장기채 매입 확대, 공동재보험 출재, 자산부채종합관리(ALM) 제고 노력으로 킥스비율을 180%로 유지한다는 구상이다.
“충분한 배당여력 보유...중기 배당성향 50% 달성"

▲삼성생명이 고수익 건강보험 판매를 늘려 중기 주주환원율을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삼성생명은 연간 순이익 규모가 2조원임을 고려할 때 배당성향 5%포인트(p) 상승시 킥스비율은 0.4%포인트 하락한다고 설명했다. 삼성생명 측은 “킥스비율 하락 폭은 크지 않다"며 “별도 재무제표 기준 미처분 이익잉여금이 약 13조원이고, 배당에 제한되는 해약환급금준비금이 없어 충분한 배당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생명은 보험본업 경쟁력 강화, 자산운용 및 해외사업 성과 확대, 미래성장동력 기반 마련 등을 통해 중기 배당성향을 지난해 38.4%에서 50%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킥스비율 타깃 등을 감안했을 때 중기 배당성향 50%를 달성하는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국내외 제반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어 밸류업 공시 시기를 공개할 수는 없지만, 이른 시점에 수립되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생명의 1분기 실적 개선은 다른 생보사, 손보사들과 비교해도 두드러진다. 교보생명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1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 2854억원(지배기업 소유주 지분)으로 전년 대비 10.8% 감소했다. 한화생명은 연결기준 1분기 순이익 29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7% 줄었다.
손해보험사들도 실적이 부진했다. 삼성화재는 시장 변동성 확대, 대형 재해 등의 영향으로 1분기 연결 지배주주지분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3.2% 줄어든 6081억원에 그쳤다. 현대해상은 1분기 순이익 20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4% 감소했다. DB손해보험(4470억원), 메리츠화재(4625억원)도 순이익이 각각 23.4%, 5.8%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