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김문수 국민의힘·권영국 민주노동당·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왼쪽부터)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원자력 발전의 안정성에 대해 공방을 펼쳤다.
이 후보는 2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두 번째 대선주자 TV 토론에서 김 후보의 원전 지원 정책에 대해 묻는 질문에 “원전이 위험한 에너지라는 점에는 생각이 여전한데 우리 현실이 있기에 이미 지어진 원전은 계속 쓰자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추가로 원전을 짓는다면 어디에 터가 있냐 묻고 싶다. 소형모듈원전(SMR)은 더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원전은 위험하지만 가장 안전한 에너지"라며 “'판도라'와 같이 공상과학 영화를 보고 원전을 위험하다 말한다"고 이 후보를 비판했다.
이어 이 후보에게 “원전에 직접 가봤는가"라고 물었다.
이 후보는 “원전에 가보지는 않았다. 가보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처리후 폐기물은 위험하다"며 “일본에서 원전이 폭발했고 한반도에 피해를 입힌 게 현실이다. 체르노빌도 마찬가지다. 가급적이면 재생에너지 비중을 올리는 게 맞다"고 답했다.
김 후보는 “후쿠시마는 폭발이 아니라 해일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며 “우리나라 원전 시공 능력은 최고 수준이다. 이 후보가 원전 현장도 가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도 “이 후보가 원전을 가보지도 않고 이념에 경도돼 원전에 대해 오해하고 있는 걸 국민들이 다 알 것 같다"며 “결국에는 우리나라에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풍력과 태양광을 선택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산업에 대한 이해가 없는 것"이라고 김 후보 지적에 동조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같은 공세에도 토론에서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을 꾸준히 강조했고 재생에너지 발전 수익을 지역 주민에게 배분하는 '햇빛연금' 대폭 확대를 주장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이재명 후보에게 “재생에너지는 공공이 50% 이상 주도해야 한다고 본다"며 이 의견에 동의하는지 물었다.
이 후보는 “비율이 얼마인지는 논의해봐야곘지만 최소 30% 정도는 해당 지역 주민에게 사업권을 주는 게 맞다"며 “신안에서는 햇빛연금을 주민에게 배당하고 있다. 이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