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트럼프 “국제유가 40~50달러 원해”…저유가 전망 현실화되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24 13:00
Trump Mideast

▲13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회담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사진=AP/연합)

2023년부터 배럴당 70~80달러대 박스권 흐름을 이어왔던 국제유가가 최근 들어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저유가를 고집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동 최대 산유국들을 방문한 이후 유가가 더 떨어질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석유 수출 카르텔인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非)OPEC 주요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그동안 이어왔던 감산을 모두 철회할 경우 유가가 40달러대로 추락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국제유가, 연중 고점 대비 22% 급락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지난달부터 본격적으로 곤두박질치기 시작했다. 23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WTI 7월물 선물 가격은 배럴당 61.53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올해 연중 최고점(78.82달러·1월 13일)대비 22% 가량 급락한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본격적인 관세 드라이브로 글로벌 경기침체 공포가 확산하자 원유 수요가 감소할 것이란 불안이 유가를 짓누른 탓이다. 여기에 세계 최대 석유 생산국 중 하나이자 OPEC 맹주인 사우디가 증산 방침을 밝히자 공급확대 우려마저 시장에 번졌다.


그 결과 WTI 가격은 이달 3일 배럴당 57.13달러를 기록, 2021년 2월 이후 약 4년만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국제유가는 지난달에만 무려 18.56% 급락했는데 이는 2021년 11월 이후 최대 낙폭이기도 하다.




유가는 이달 중순까지 반등하는 듯한 모습을 이어왔다. 미국이 영국, 중국과 잇따라 무역 합의를 타결하자 WTI 가격은 지난 13일 배럴당 63.67달러까지 올랐다.


그 이후엔 미국과 이란의 핵합의,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 가능성,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요인들이 등장했지만 유가는 뚜렷한 방향을 잡지 못한 채 횡보세를 이어가고 있다.



5

▲지난 3년간 WTI 가격 추이(사진=네이버금융)

◇ OPEC+ 증산 기조·이란 핵합의 등…유가 하방 요인 수두룩


그럼에도 다수의 주요 기관들은 국제유가가 하락세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매월 발표하는 '5월 월간 석유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원유시장 공급 증가량이 하루 160만배럴로 예측됐는데 이는 지난달 보고서 대비 38만배럴 상향 조정된 수치다.


반면 원유 수요 증가량은 지난 1분기 하루 99만배럴에서 올 연말까지 65만배럴로 축소될 것으로 예측됐다.


IEA는 “글로벌 석유수요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는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트럼프발 관세전쟁 등에 따른 경기 둔화와 전기차 대중화가 석유수요를 짓누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IEA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에서 2000만대 이상의 전기차가 판매되며 이중 1400만대 가량은 중국에서만 팔릴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지난 19일 보고서를 통해 관세 협상 등 기대감으로 올해 원유수요가 하루 60만배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기존 전망치 대비 20만배럴 상향된 수치다.


골드만삭스는 그러나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 타결이 유가에 하방 압박을 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국제유가가 내년말까지 하락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8년 이란 핵합의(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원유 수출 금지 등 대이란 제재를 복원했다. 이런 핵합의가 원만하게 진전될 경우 이란산 원유가 공급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국제유가 하락 요인으로 지목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이란에 대한 원유 수출 금지 조치가 해제될 경우 WTI 가격이 최저 40달러까지 추락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도 올 하반기부터 하루 360만배럴의 이란산 원유가 시장에 공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OPEC+ 증산까지 겹쳐 올해와 내년 WTI 가격 전망치를 각각 배럴당 56달러, 52달러로 제시했다.


골드만삭스는 이어 관세 전쟁 장기화로 세계 경제 성장률이 타격을 입고 OPEC+가 2022년부터 시작된 감산 조치를 모두 철회할 경우 내년말 브렌트유가 배럴당 40달러로 폭락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또다른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 2분기 브렌트유 가격 전망치를 기존 배럴당 65달러에서 60달러로 낮췄다. 올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가격 전망치 또한 각각 배럴당 57.50달러(기존 62.50달러), 55달러(기존 65달러)로 하향 조정됐다.


모건스탠리는 “OPEC의 생산 할당량 조정은 예상보다 높게 나왔으며 이는 앞으로 몇 달 동안 추가 공급 증가의 전조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FILES-OPEC-POLITICS-ECONOMY-ENERGY

▲석유수출국기구(OPEC) 로고(사진=AFP/연합)

◇ OPEC+의 이례적 증산…저유가 원하는 트럼프 의식?


지난해까지 하루 22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을 이행한 OPEC+는 지난 4월부터 하루 13만8000 배럴씩 증산하기로 했는데 5월부터 두 달 연속 증산폭을 하루 41만1000배럴씩 늘리기로 했다.


이런 와중에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OPEC+는 7월 중 하루 41만1000배럴 규모의 추가 증산 여부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직 최종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으며 결정은 내달 1일 정례회의에서 내려질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OPEC+ 산유국들이 유가 하락을 막기 위해 생산량을 감축해왔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이번 증산 결정은 상당히 이례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관세 전쟁 등에 따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이로 인해 원유 수요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공급량을 늘리는 것은 명백히 유가를 내리겠다는 의도로 읽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사우디의 셈법이 깔려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전쟁으로 인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박이 완화되기 위해선 유가 하락이 필수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취임 직후 개최된 스위스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OPEC을 향해 유가를 낮추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골드만삭스가 과거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최근 분석한 결과 트럼프 대통령은 배럴당 40~50달러 범위의 WTI 가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드만삭스는 “유가가 50달러를 넘을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유가 하락을 촉구하거나 가격 하락세를 환여하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내놨다"며 “반대로 유가가 30달러 밑으로 떨어질 경우엔 미국 내 에너지 생산자를 보호하기 위해 유가 상승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사우디는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순방을 앞두고 원유 공급을 늘리는 식으로 '깜짝 선물'을 미리 안겨줬다는 해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6000억달러 규모의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고 미국은 그 일환으로 1420억 달러에 달하는 무기를 사우디에게 판매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시리아에 대한 제재를 해제했는데 이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직접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리아 제재 해제 발표 후 “왕세자를 위한 일"이라고 했고 빈 살만 왕세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기립박수를 보내기도 했다.


이를 두고 로이터는 “사우디발 유가 전쟁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무언의 선물"이라며 “사우디는 트럼프 대통령의 성공적인 순방을 위해 사전에 유가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