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앞두고 베트남과 무역합의에 도달했다고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인 또 럼(To Lam)과 직접 통화한 후 베트남과 무역협상을 발표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합의에 따라 베트남은 모든 수출품에 대해 미국에 20% 관세를 지불하고 제3국을 우회한 재수출 상품에 대해선 40%의 관세를 낼 것"이라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베트남에 대해 46%의 상호관세율을 책정한 바 있다.
이어 “그 대가로 베트남은 이전에 해본 적이 없는 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미국에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는 것"이라며 “이는 우리는 베트남에 무관세로 수출하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형 엔진 차량이라 불리는 SUV는 베트남 내 다양한 제품 라인업에 훌륭한 추가 요소가 될 것"이라며 “또 럼 서기장과 개인적인 협상은 정말 기뻤다"고 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은 상호관세 발표 이후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미국과 무역협상을 타결한 국가가 됐다. 아시아 지역 국가와 합의를 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기도 하다. 중국과도 합의가 있었으나 아직 무역협정으로 공식 발표되지는 않았다.
이번 발표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는 와중에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9일 발효했다. 상호관세 발표 당시 베트남에 대한 상호관세율은 46%에 달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가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중국 제외)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그 유예 기간은 오는 8일 끝난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9일 발효했다가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중국 제외)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그 유예 기간은 오는 8일 끝난다.
다만 백악관은 이번 무역협상에 대해 공식적인 발표문이나 포고령 등을 공개하지 않은 데다 일부 내용은 여전히 협상이 진행 중일 가능성이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짚었다. 실제 미국은 지난 5월 초 영국과 무역협상이 타결됐다고 발표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협상을 시행하는 행정명령을 지난달 중순에 서명했다. 또 양국은 지금도 핵심 쟁점인 철강 관세에 대한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