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비은행 건설업 연체율 ‘경고등’…사상 첫 10% 돌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08 13:10
아파트 건설 현장.

▲아파트 건설 현장.

비은행 금융기관의 건설업, 부동산업 기업대출 연체율이 올해 1분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8일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분기 비은행의 건설업 대출 연체율은 10.26%로 나타났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8년 이후 처음 10%를 넘어섰다. 전체 건설업 대출 중 10건 중 1건 꼴로 원리금 상환이 한 달 이상 지연되고 있다는 의미다.


비은행은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를 제외한 상호금융, 보험회사, 여신전문금융회사 등을 포함한다.


비은행 건설업 연체율은 2022년 말 1∼2%대에 머물렀지만, 2023년 상승세를 보이며 1분기 3.38%, 2분기 4.17%, 3분기 4.81%, 4분기 4.85%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에는 7.39%로 급등한 후 2분기 7.96%, 3분기 9.11%까지 올랐다가 4분기 8.67%로 다소 주춤했으나, 올해 1분기에 다시 치솟으며 10%를 넘어섰다.


부동산업 연체율도 상황은 비슷하다. 1분기 비은행 부동산업 연체율은 7.91%로, 2018년 이후 최고치다. 이 연체율은 2022년 말 2% 미만에서 2023년 1분기 3.15%, 2분기 3.46%, 3분기 4.00%로 상승했고, 지난해 1분기 5.85%로 다시 치솟은 후 2분기 6.16%, 3분기 6.82%, 4분기 6.61% 등으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건설업과 부동산업의 연체율 상승은 비은행 건전성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비은행 기업대출 중 건설업과 부동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1분기 말 43.1%로, 2015~2021년 평균치인 35.7%를 웃돌고 있다.


은행권도 예외는 아니다. 1분기 은행 건설업 연체율은 1.01%로, 2016년 3분기(1.37%) 이후 가장 높다. 부동산업 연체율도 0.44%로 2017년 1분기(0.48%) 이후 최고치다. 부동산업 대출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0.72%)은 2017년 2분기(0.79%) 이후 가장 높았다.


한은은 지난달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부동산 경기 부진이 심화할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 채무가 현실화해 건설기업의 부실이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단 부실 PF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신규 대출 잔액이 줄며 연체율이 상승한 만큼 부실채권이 상·매각되면 점차 연체율이 개선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박성훈 의원은 “특히 지방 중소 건설사들의 건전성과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할 수 있다"며 “정부가 위기 고리를 끊기 위한 선제적 조치와 지역 맞춤형 대응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