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수현

ysh@ekn.kr

윤수현기자 기사모음




은행 ETF 고공행진…KB운용, 일주일 수익률 10%넘겨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0 14:09

주요 금융지주 주가 줄줄이 최고가…은행 섹터 ETF 수익률도 10% 육박

상법 개정·배당세제 개편 기대에 단기 과열…“실적이 뒷받침돼야 추가 상승”

5대은행 가계대출 증가속도 10개월만에 최대

▲서울 시내 주요 은행 ATM 창구 모습. 연합뉴스

은행주 강세에 힘입어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도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1주일 동안 수익률 상위 ETF 대부분이 은행·금융주 중심으로 채워지면서, 배당과 저평가 매력을 겸비한 금융 ETF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2025년 7월 2~9일 금융 ETF 수익률 상위 종목

2025년 7월 2~9일 금융 ETF 수익률 상위 종목

10일 K-ETF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9일까지 최근 1주일간 국내 상장 ETF(레버리지·인버스 제외) 수익률 상위 10개 중 절반 이상을 은행·금융 관련 상품이 차지했다.


특히 'RISE 코리아금융고배당'(케이비자산운용)이 10.61% 오르며 금융 ETF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미래에셋자산운용)이 9.36%, 'TIGER 은행'(미래에셋자산운용)이 8.91%, 'SOL 금융지주플러스고배당'(신한자산운용)도 8.89%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KODEX 은행'(8.48%),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워클리커버드콜'(8.50%), 'RISE 200금융'(7.24%) 등이 금융 섹터 중심으로 상위권에 포함됐다.


최근 은행주가 잇달아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관련 ETF의 수익률이 동반 상승한 모습이다.




KB금융은 8일 장중 12만2000원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가를 새로 썼고, 신한지주는 같은 날 7만2100원까지 올라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하나금융지주는 9일 9만5700원까지 치솟아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으며, 우리금융지주도 같은 날 2만5950원, 기업은행은 2만550원으로 각각 연중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지수 흐름에서도 강세가 확인된다. KRX 은행지수는 3일 1182.85에서 10일 1264.69까지 상승하며 약 6.9% 오름세를 기록했다.


은행주 강세의 배경에는 △2분기 양호한 실적 전망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 △상법 개정 및 배당 세제 개편 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말 국회를 통과한 상법 개정안은 배당 확대 및 자사주 매입 정책을 유연하게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여기에 배당소득 분리과세 논의가 본격화되며 고배당주에 대한 투자자 선호가 더욱 커지고 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은행주는 낮은 PBR(주가순자산비율)을 바탕으로 여전히 저평가 영역에 머물러 있다"며 “2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CET1(보통주자본비율) 추가 개선이 확인되면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이 대거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증권가에선 미국 은행주 강세와도 흐름이 궤를 같이한다고 본다. 미국에선 보완적 레버리지비율(SLR) 완화 등 규제 완화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금융주 역시 실적 모멘텀과 함께 하반기 배당 정책 강화 흐름에 올라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단기 급등세를 경계하는 시각도 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최근 금융주는 정책 기대감에 급등하는 전형적인 테마주 성격을 보이고 있다"며 “배당 확대나 상법 개정 기대감 등 테마성 재료가 단기 반영된 측면이 크기 때문에 실적이 뚜렷하게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추가 상승 여력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