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면담하고 있다. (제공=연합뉴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를 앞두고 협상 차 워싱턴을 방문했던 정부 통상 협상단이 9일(현지시간) 귀국했다. 미국 측이 상호관세 발효 시점을 8월로 연기하면서 협상단은 일정 조정에 나섰지만, 관세율 자체는 그대로 유지돼 부담은 여전히 남아 있다.
정부 당국에 따르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오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2차 면담을 가진 뒤 워싱턴 D.C.를 떠나 귀국길에 올랐다. 박정성 무역투자실장 등 실무진도 함께 귀국했다.
여 본부장은 지난 5일 미국에 도착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수석대표를 만나 협상을 시작했고, 7일에는 러트닉 장관과 1차 면담을 진행했다. 이후 귀국 직전까지 협의를 이어가며, 미국 측에 25% 상호관세 적용의 유예 연장과 자동차·철강 등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 완화를 요청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초 7월 9일부터 상호관세를 적용할 예정이었으나, 7일 이를 8월 1일로 한 차례 더 연기했다. 한국을 포함한 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조치다. 협상단은 이 같은 결정으로 시간을 확보했지만, 관세율 자체는 그대로 유지되며 본질적인 부담 완화로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이번 방미 협상에서는 통상뿐 아니라 안보 이슈도 함께 다뤄졌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6일 워싱턴을 방문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면담한 뒤, 하루 앞선 8일 귀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내각 회의에서 주한미군 방위비 증액 필요성을 언급했으며, 이는 통상과 안보를 연계한 일괄 협상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여한구 본부장과 위성락 실장의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측 입장을 분석하고, 통상과 안보를 함께 고려한 후속 전략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에는 외교·안보 채널을 포함한 범정부적 협상 전환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