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비용관리, 카드사 실적 갈랐다”…하반기도 키포인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29 15:51

삼성·신한, 전분기비 감소
KB국민·현대·우리·하나↑

내수침체·미국 관세 등
대내외 리스크 속 수익 향상 차질

판관비·이자비용·대손비용 억제 역량
향후 성적표에 영향

카드업계

▲카드사들의 상반기 실적이 전체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2분기 성적표가 엇갈렸다.[사진=챗GPT]

카드사들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실적발표가 잇따라 이뤄진 가운데 대부분 기업의 올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하락했다. 그러나 2분기만 놓고 보면 희비가 엇갈렸고, 하반기에도 비용 문제가 실적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업계 1위를 다투는 삼성카드와 신한카드는 2분기 순이익이 전분기 대비 나란히 18% 가량 낮아졌다. 영업수익이 확대됐지만, 비용부담이 더 크게 불어난 탓이다.


삼성카드의 경우 지난해 4분기 2032억원에서 올 1분기 1740억원으로 낮아졌던 대손비용이 워크아웃 접수액 확대로 인해 2분기 1845억원으로 반등했고, 판매관리비도 5000억원대로 회귀하는 등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금융비용도 차입금 규모로 인해 지난해 4분기 1329억원, 올 1분기 1356억원, 2분기 1446억원으로 높아지고 있다.


신한카드는 대손충당금 전입액(2540억원)이 소폭 줄었으나, 수수료 및 기타영업비용(8855억원)이 54.9% 급증한 여파를 상쇄하지 못했다. 회원 기반 확대를 위한 행보지만, 단기적 충격이 컸던 셈이다. 지급이자(2792억원, +5.2%)의 부담이 여전한 가운데 판관비도 1934억원에서 2017억원으로 증가했다.


반면, 다른 카드사들은 오히려 2분기에 한숨을 돌린 모양새다. 현대카드의 당기순이익(1041억원)은 전분기 대비 69.5% 개선됐다. 영업수익(9269억원)이 3.4% 증가하고, 대손비용·판관비 완화에 힘업어 영업비용(8168억원)도 3.1% 줄어든 영향이다.




특히 KB국민카드는 영업수익이 2.7% 줄었고, 영업비용이 9.9% 불어났음에도 당기순이익이 14.6% 향상됐다. 부실채권 매각에 힘입어 충당금 전입액이 환입되면서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1341억원)이 52.9% 축소된 덕분이다.


중위권에서는 하나카드도 판관비·운영비 효율화 성과가 수익성을 끌어올렸다. 우리카드는 30%가 넘는 증가폭을 기록했다. 영업수익이 0.7% 하락하고 수수료 및 기타비용도 0.9% 가중됐지만, 이자비용과 판관비를 각각 1.9%·4.0% 절감했다. 과징금 영향이 소멸한 것도 실적 향상에 기여했다.


카드사

▲카드사들이 하반기 실적을 걱정하고 있다.

업계는 하반기에도 △가맹 수수료율 인하 및 역마진 △금융당국의 카드론 취급 규모 규제 △미국 관세를 비롯한 각종 악재로 하반기 업황도 좋지 않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비용 관리가 더욱 중요한 요소하게 여겨질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적 향상을 위해 힘을 쏟던 법인카드 시장이 진통을 겪고 있는 것도 언급된다. 올 상반기 동안 법원에 접수된 법인 파산 신청건수는 1104건으로 1년 만에 11.8% 많아졌다. 실제로 카드사들의 법인 신용 회원은 지난해 6월 약 327만명에서 올 6월 304만명 수준으로 줄었다.


어음 부도율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자금난을 이기지 못하고 폐업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는 탓이다.


기업들이 부실채권 상·매각 등으로 연체율 관리에 나서고 있으나, 건전성 관리도 쉽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매물'이 많이 쏟아지면서 가격이 떨어진 만큼 무작정 판매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는 이유다.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하락하는 가운데 정부의 빚 탕감 정책이 차주들의 상환 의지를 꺾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불만도 나온다.


국고채 금리도 주시하고 있다. 자체 수신 기능이 없는 카드사 특성상 자금의 절반 이상을 여전채로 조달하기 때문이다. 국고채 금리 인상은 여전채를 비롯한 금융채 금리를 끌어올려 카드사의 조달금리를 높일 수 있다. 최근 국고채 금리는 3년물 기준 2.4%대를 오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업계에서 일명 '알짜카드'를 줄이고 구조조정이 화두였던 것도 비용절감의 일환"이라며 “수익을 늘리기 어려운 구조가 고착화되는 만큼 지출되는 비용을 줄이는 방안을 찾는데 더욱 많은 노력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