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4대 금융지주가 상반기 원·달러 환율 하락과 이익 성장, 위험가중자산(RWA) 관리 노력 등에 힘입어 보통주자본(CET1) 비율이 일제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CET1 비율은 은행의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이자 주주환원 여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통주자본을 위험가중자산(RWA)으로 나눠서 산출한다.
특히 우리금융지주는 타 지주사와 달리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음에도, CET1 비율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추가적인 주주환원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앞서는 KB금융...뒤쫓는 신한지주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은 6월 말 현재 CET1 비율 13.74%로, 주요 금융지주사 중 가장 높았다. 올해 3월(13.70%)과 비교하면 0.04%포인트(p) 올랐고, 작년 12월 말(13.53%) 대비로는 0.21%포인트 상승했다. 이 회사는 연중 13.5%를 초과하는 자본을 하반기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에 따라 주당 920원의 현금배당과 8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을 내놨다.
8500억원 가운데 66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우선 매입 및 소각하고, 배당가능이익 초과분인 1900억원은 배당가능이익을 확보한 이후인 내년 초 매입할 예정이다. 1900억원은 2025년 주주환원에 귀속되기 때문에 내년도 주주환원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이번 발표로 KB금융의 올해 주주환원 규모는 총 3조100억원, 총주주환원율은 50.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4대 금융지주 CET1 비율 추이.
신한지주는 6월 말 현재 CET1 비율 13.59%로, 1분기(13.27%)에 비해 0.32%포인트 상승했다.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전분기 대비 CET1 비율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작년 말(13.06%)과 비교해도 0.53%포인트 올랐다. 그룹 RWA가 환율 하락과 수익성 중심의 그룹 포트폴리오 조정 등으로 전분기 대비 4조1000억원(1.2%) 감소하면서 CET1 비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신한지주는 올해 시장 변동성에도 CET1 비율을 13% 이상 유지할 계획이다. 자본비율 개선을 바탕으로 올해 하반기 6000억원, 내년 초 2000억원을 포함해 총 8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및 소각을 단행할 예정이다. 이를 고려하면 올해 총 주주환원액은 2조3400억원, 주주환원율은 46.2%에 달한다.
우리금융-하나금융지주, 주주환원 평가 엇갈려
가장 주목받는 곳은 우리금융지주다. 우리금융은 6월 말 기준 그룹의 CET1 비율 잠정치 12.76%로 사상 처음으로 12.5%를 초과했다. 작년 말(12.13%) 대비 0.63%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4대 금융지주 중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우리금융 측은 “불확실한 금융 환경에서도 견조한 이익 증가와 함께 위험가중자산을 감안한 최적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위험가중자산수익률(RoRWA) 중심의 성과 평가 운영 등 전방위적으로 자본비율 개선을 추진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서울 중구 우리금융그룹 사옥의 모습.
이 회사는 연말 CET1 비율을 12.5% 초과 달성하고, 중장기 목표이자 시장 기대치인 13%를 조기에 이룬다는 목표다. 앞서 우리금융은 CET1 비율 11.5~12.5% 구간에서 총주주환원율을 최대 35%로, 12.5~13.0% 구간에서는 총주주환원율을 최대 4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이번 12.5% 달성은 더욱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같은 경우 동양·ABL생명 자회사 편입 등으로 산적한 과제가 많아 적극적으로 주주환원 확대가 어렵겠지만, 2026년 이후부터는 주주환원율 40%에 근접하거나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이달 1일 동양생명, ABL생명의 자회사 편입에 따른 자본비율 하락 요인과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은 변수로 꼽힌다.
이밖에 하나금융지주는 이달부터 10월 24일까지 2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내놨지만, 시장 추정치(3500억원)을 하회했다는 평가가 나오며 28일 하루새 주가가 8.86% 급락했다. 이에 따라 3분기 실적발표에서 추가로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하나금융 역시 최근 원·달러 환율 반등이 추가적인 주주환원에 불확실성으로 지목된다. 하나금융지주의 CET1 비율은 6월 말 현재 13.39%로 작년 말(13.22%) 대비 0.17%포인트 올라 4대 금융지주 중 상승 폭이 가장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