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태민

etm@ekn.kr

이태민기자 기사모음




7월 번호이동 ‘최대’…SKT 위약금 면제·단통법 폐지 ‘효과 실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01 14:21

KTOA 집계 7월 한달새 통신사 변경 92만5672명
위약금 면제로 대이동, 단통법 폐지 10만명 옮겨
SKT, 25만명대 유입 힘입어 ‘순감 9만명대’ 선방
알뜰폰 1.4만명 순증…갤Z7 출시로 관망세 선회

ㄴㄴ

▲서울 시내 한 SK텔레콤 직영점(T월드)에 번호이동 혜택 관련 안내가 부착돼 있다. 사진=이태민 기자

지난달 국내 통신시장 번호이동 수가 92만명대로 다시 한 번 최대치를 경신했다.


SK텔레콤(SKT)이 유심정보 해킹 사고 위약금을 면제한 가운데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대한 법률) 폐지 영향이 더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1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이동통신 번호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전체 번호이동 수는 92만5672명으로 집계됐다. 단통법 시행 이후 역대 최고치였던 5월 93만3509명 다음으로 많은 수치다. 해킹 사고 발생 전인 지난 3월(52만5937명)보다 76%, 6월(66만6618명)보다는 38.92% 늘었다.


번호이동은 기기 변경 과정에서 휴대전화번호는 유지한 채 통신사만 옮기는 것을 뜻한다. 통신시장 경쟁 활성화 양상을 확인하는 주요 가늠자로 활용된다. 해당 지표가 늘어난다는 건 시장 경쟁이 활발함을 의미한다.


통신사별로 살펴보면, 지난달 SKT의 순감 규모는 9만1267명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다른 통신사로 이동한 가입자는 △KT 13만1108명 △LG유플러스 13만9451명이다. 알뜰폰으로 옮긴 가입자는 7만4958명으로, 전월(3만8030명)보다 97.10% 상승했다. 반대로 경쟁사에서 SKT로 향한 가입자는 25만4250명이다.




지난 5월부터 순감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규모는 점진적으로 줄고 있다. SKT 가입자 순감 규모는 4월 11만4330명에서 5월 40만5530명으로 치솟았으나, 6월 11만282명으로 크게 줄었다. SKT가 가입자 혜택을 넓히며 이탈 방어에 나선 영향으로 분석된다. 해킹 사고 발생 이후 SKT의 지난 4월~7월 총 순감규모는 72만1409명이다.


같은 기간 KT와 LG유플러스의 가입자 순증 규모는 각각 4만1404명, 3만6005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SKT 이탈 가입자를 전월보다 각각 4만9065명(59.8%), 5만1677명(58.9%) 흡수했다.


알뜰폰 또한 지난 6월 5996명에 이어 7월 1만3858명 순증했다. 알뜰폰 사업자 간 번호이동 수는 20만2884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번호이동 시장은 1분기 50만명대를 기록해 오다가 SKT 해킹 사고 발생 이후인 4월 69만954명으로 껑충 뛰었다. 지난 5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후, 6월 60만명대로 꺾였다가 지난달 다시 90만명대를 기록했다.


업계에선 번호이동 시장이 달아오른 요인으로 SKT의 위약금 면제와 단통법 폐지를 꼽고 있다.


앞서 통신 3사는 지난달 4일 SKT의 위약금 면제 발표 직후 보조금 지급 규모를 일제히 올리며 가입자 유치전에 나섰다. 짧은 기간 동안 가입자를 최대한 뺏어오려는 경쟁사(KT·LG유플러스)와 추가 이탈을 막기 위한 SKT 간 줄다리기가 이어졌다. 이에 따라 갤럭시 S25·아이폰 16 시리즈 가격이 0원대로 내려갔고, 갤럭시 Z7 시리즈 또한 출고가보다 절반 이상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었다.


단통법 폐지도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 동안 알뜰폰을 제외한 번호이동 수는 11만3629건으로 집계됐다. 일별 번호이동 수는 폐지 첫날 3만5131명을 기록한 이후 매일 1만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갤럭시 Z7 시리즈 사전예약 이후 통신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서며 보조금 경쟁이 나타나진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선 9월 애플의 아이폰 17 시리즈 출시 전까지 번호이동 시장이 잠잠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