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저축은행 1위’ 쉽지 않네...OK금융, 상상인 한 줄에 멈췄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07 09:20

상상인, OK금융에 돌연 협상 중단 통보
당국 매각 명령·건전성에 초반 불리해

인수 희망자 접촉·실적 상승에 상황 반전
“빨리 마무리 했어야”…영업권 확장도 제동

OK저축은행.

▲OK저축은행.

OK금융그룹이 '1위 저축은행' 굳히기에 제동이 걸렸다. 인수를 추진하던 페퍼저축은행과 협상이 길어지는 와중 상상인저축은행마저 인수 협상을 중단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최근 상상인저축은행의 실적이 본격 개선세를 보이고 있고, 복수의 원매자가 존재하는 점이 전해지면서 사실상 매각 주도권을 쥔 건 상상인 측이었다는 시각이 제기된다.



OK금융에 매각하나 했더니…상상인 돌연 '중단'에 분위기 반전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상상인저축은행이 최근 OK금융그룹에 인수 협상 중단을 통보했다.


OK금융과 상상인간 희망 매각가 차이가 좁혀지고 주식매매계약(SPA) 체결을 눈 앞에 둔 단계에서 통보된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에 따르면 OK금융이 인수가로 1082억원을 제시하고 상상인 측은 1100억원을 제시했다. 상상인 측이 OK금융과 매각가에 대한 눈높이를 20억여원 수준으로 좁혔음에도 고용승계와 임직원 처우 등 세밀한 부분의 협의를 거치던 중 돌연 중단을 선언했다는 전언이다.


사실상 지분 매각 협상이 마무리단계에 접어든 상황에서 상상인 측이 금융당국에 인수 협상 중단 의사를 밝히자 의외라는 시장 반응이 이어졌다.


당초 두 회사가 협상을 시작할 당시만 하더라도 상상인 측이 매각에 더 적극적인 입장이었기 때문이다. 상상인그룹은 지난 2023년 금융위로부터 중징계를 받아 2개 저축은행을 매각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당국이 제시한 계열사 매각 명령 기한이 있기에 시간적으로 불리한 상황이라는 평가가 다수였다. 상상인 측이 소송을 이어가며 시간을 벌고 있는데다 건전성 이슈로 몸값을 높이기 어려워 매각을 더 늦추기엔 한계에 달했다는 진단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상상인 측이 중단을 선언하면서 분위기가 반전됐다. 막판 가격 협상에서까지 OK금융이 가격을 소폭 낮추면서 당초 희망한 수준에 근접했다는 평가가 나올만큼 우위를 내줬던 상상인 측 태도가 바뀐 것이다. OK금융 입장에서는 지난해 12월부터 상상인저축은행 매각 협상에 임해오면서 공 들여온 노력이 좌절됐다. 실사를 비롯해 인수 작업에 쓰인 시간과 비용도 OK금융으로선 적지 않은 손실이다.



지체하다 되려 물 먹었나…상상인 내부선 “내키지 않았다"는 입장도

상상인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

업계에선 상상인 측에 다른 협상 대상자가 접촉해 오며 더 나은 조건을 제시했거나 현재 가격보다 몸값을 높일 만한 이슈가 발생했을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상반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실적 개선세가 커지면서 몸값 높이기에 시동이 걸린 상황도 분위기를 반전시킨 요소가 됐다. 상상인저축은행은 지난 1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하면서 실적 반등이 본궤도에 올랐다. 2024년 1분기 당기순이익으로 380억원 순손실을 기록한 뒤 △2024년 2분기 200억원 순손실 △2024년 3분기 103억원 순손실 △2024년 4분기 5000만원까지 순손실 규모를 줄였고 △올해 1분기 112억원의 순익을 기록했다. 금리인하 시기 진입과 함께 자금조달 비용의 효율화와 대손충당금 선제 적립 등 여신 관리에 주력한 결과다. 2분기에도 순이익 기조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연간 흑자 달성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상상인저축은행 관계자는 “상황상 특판이나 신규 대출이 이뤄질 수 없고 정상적이지 않은 영업환경에서도 흑자전환을 이뤄낸 점은 상상인저축은행의 단단한 영업망과 체력을 입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상인그룹 내부에선 임직원들이 상대적으로 고용이나 직원 복지가 열악한 OK금융과의 합병을 원치 않았다는 분위기도 전해진다. 한 업계 관계자는 “회사 윗선엔 공평저축은행 합병 시기부터 회사를 키워왔다는 자부심을 지닌 직원이 많고, 복지나 사내 분위기를 이유로 OK그룹에서 상상인에 넘어온 직원도 다수인 것으로 안다"며 “그룹도 매각할 계열사에 430억원을 증자할 정도로 건전성 회복에 대한 의욕이 있었고, 사내 문화가 기본적으로 직원 중심으로 돌아가는 편"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OK금융이 협상 전략을 잘못 세운 것이 아니냐는 시각도 나온다. 상상인 측이 강제 매각에 처해진 상황이지만 여러 요소를 고려해 OK금융이 우위에 서서 가격을 깎기보다 빠르게 협상을 마무리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상상인 측의 협상 중단 통보 후 입장이 뒤바뀌자 OK금융 내부 분위기가 매우 좋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OK금융은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로 업계 1위 굳히기와 수도권 영업권을 확장하려던 목표 달성에 당분간 지연을 겪게 됐다. OK저축은행은 현재 서울, 충청, 전라 지역을 중심으로 영업 중인 반면 상상인저축은행은 경기·인천 영업권을 보유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상상인저축은행이 매각을 실패한 게 아니라 OK금융의 인수 시도가 불발된 것이라고 평가한다"며 “협상이 많이 진전된 단계에서 중단을 선택한 것은 고려할 만한 선택지가 따로 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상상인그룹 관계자는 “저축은행 라이센스도 귀하지만 누적 가입자수가 50만명에 달하는 금융플랫폼 뱅뱅뱅을 소유한 점 등이 M&A 시장에서 매력적으로 보이는 듯 하다"며 “OK금융과의 협상 전에도 복수의 인수희망자가 있었고 고용승계 등 세부 조건이 맞는 인수자를 찾으려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OK금융과의 딜이 완전히 결렬된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단을 요청했을 뿐 OK금융을 포함해 회사에 좋은 조건이 제시되면 바로 협상을 재개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