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금융위, 지역재투자 평가 최우수은행에 하나·국민·기업은행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27 16:25
금융위

▲하나은행, KB국민은행, iM뱅크,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이 금융위원회의 지역재투자 평가결과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자료=금융위)

하나은행, KB국민은행, iM뱅크,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이 금융위원회의 지역재투자 평가결과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금융위원회는 27일 지역재투자 평가위원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금융회사 지역재투자 평가 결과'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인터넷전문은행을 제외한 15개 시중은행과 작년 말 기준 자산 규모 1조원 이상이면서 복수 지역에서 영업하는 12개 상호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금융위는 수도권 제외 13개 시·도에 대해 지역 내 자금공급, 중소기업 지원, 서민대출 지원, 금융인프라 현황 등을 평가했다. 지방은행은 영업점 소재 지역으로 한정했다.


그 결과 시중·특수은행 중에는 하나·KB국민·아이엠(iM)·IBK기업·NH농협은행이 지역재투자 평가 최우수등급을 받았다. 지방은행 중에는 부산·광주·전북·전남은행이, 상호저축은행에서는 한국투자저축은행이 최우수등급을 획득했다.




우리은행과 제주은행, BNK·JT·OK저축은행은 지역재투자 평가에서 우수등급을 받았다.


신한은행과 예가람저축은행, JT친애저축은행, SBI저축은행은 양호등급을 받았다. 한국씨티은행은 소매금융 철수로 신규 영업이 없어 '미흡' 등급을 받았다.


최우수 등급을 취득한 평가지역 수는 국민·농협(7개), 하나(5개), 기업(4개), 경남(3개), 우리·아이엠(2개) 순이었다.


지방은행은 본점 소재지와 인근 지역에서 우수한 자금공급 실적, 금융인프라 등으로 모두 최우수 또는 우수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 은행권의 비수도권 여신증가율은 4.7%로 수도권 여신증가율 상승폭(4.5%→6.0%, +1.5%p)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전년(3.4%) 대비로는 여신규모가 상승했다.


비수도권의 수신액 대비 여신액 비율을 뜻하는 예대율은 124.1%로 전년(123.7%) 대비 소폭 올랐다. 수도권(98.4%)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지난해 비수도권 전체의 여신비중(34.5%)과 생산비중(47.7%) 차이는 13.2%포인트로 전년(12.7%p) 대비 소폭 커졌다.


지난해 은행의 비수도권 기업대출액 가운데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비중은 95.3%로 수도권(83.1%)에 비해 높았다.


지난해 은행의 비수도권 평가지역 가계대출액 대비 서민대출액 비중은 1.95%였다. 전년(0.56%) 대비 1.39%포인트 오른 수치다. 이는 수도권(1.17%)에 비해서도 높았다.


지역재투자 평가결과는 금융감독원 경영실태평가,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교육청 금고 선정기준 등에 활용된다. 금융위는 “앞으로도 지역재투자 평가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관련 기관들과 협의를 계속하고, 금융환경 변화 등에 맞춰 평가 타당성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제도개선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