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임진영

ijy@ekn.kr

임진영기자 기사모음




대형 건설사 브랜드 타운 ‘大望’ 쉽지 않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28 17:34

삼성물산, 성수 전략 2~4지구 공동 커뮤니티 운영 제안했다 조합 강력항의

“회사 공식 입장 아냐… 현장 담당자 2~4지구 모두 수주하려는 의욕 앞서”

현대건설, 압구정 현대 2·3구역서 수의계약·토지소유권 소송 ‘암초’ 만나

성수

▲서울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 조감도. 서울특별시

강남이나 한강변 등 핵심 입지 아파트를 자사 단지들로 '통일'해 브랜드 타운을 만드는 것은 대부분 건설사들의 대망(大望)이다. 그러나 아무리 대형 건설사라도 한 지역에 자사 브랜드로만 아파트가 채워지는 일은 만만치 않다. 최근 업계 1위와 2위인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서울 요지에 브랜드 타운 건설을 노리고 있지만 예상치 못한 암초를 만난 모양새다.


28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성수 전략정비구역 4지구 재개발 조합은 최근 삼성물산에 항의 공문을 보냈다. 조합 측은 성수 2~4지구를 모두 삼성물산이 시공하고 각 지구의 커뮤니티 시설을 공동으로 통합 사용하자는 삼성물산의 제안에 대해 공식 해명·사과를 요구하는 항의 공문을 보냈다.


문제의 시발점은 삼성물산이 지난 21일 성수 4지구 재개발 조합원들을 상대로 '래미안 갤러리 투어'를 진행하면서 “성수2~4지구를 모두 삼성물산이 시공해 이른바 '삼성타운'을 조성하고 각 지구의 커뮤니티 시설을 공동으로 나누어 사용하자"는 계획을 설명한데 따른 것이다.


조합은 “다른 개별 지구가 커뮤니티를 공동 운영한다는 것은 법적으로 허용될 수 없고, 시공사가 이에 개입하는 것도 불가능한 일로, 커뮤니티 공동 운영으로 인해 조합원 개개인 자산가치에 악영향을 미칠수 있다"면서 삼성물산에 강하게 항의했다. 조합 관계자는 “삼성물산에 이 같은 허위성 홍보를 한 것에 대해 사과 요구 및 제안을 철회하고, 4지구 특화 설계에 대한 명확한 제안을 할 것을 요구했다"며 “29일까지 회신을 요구했는데 오늘(28일)까지도 삼성물산 측으로부터 공문이 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물산은 현장 책임자의 시공권 수주를 향한 지나친 의욕이 불러온 해프닝이라는 입장이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회사는 성수 2~4지구를 묶어 공동 커뮤니티를 운영할 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며 “(조합에 이 같은 제안이 나간 것은) 성수 2~4지구를 모두 삼성물산이 수주하고자 하는 현장 담당자의 의욕이 지나치게 앞서다보니 일부 조합원들에게 불가능한 제안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현재 삼성물산은 성수전략지구 중 2~4지구 입찰을 검토 중이다. 만약 삼성물산이 목표로 한 3개 지구를 모두 따내면 서울의 '핫 플레이스'로 떠오른 성수 지역에 '래미안 타운'이 건설되는 셈이다.


삼성물산의 '래미안 타운' 건설은 꾸준히 시도돼 왔던 목표다. 2010년대 서초동 재건축 핵심이었던 서초 우성 1·2·3차의 시공권을 모두 확보해 각각 래미안 리더스원·래미안 서초 에스티지S·래미안 서초 에스티지로 재탄생시켜 서초동 일대에 '래미안 타운'을 건설한 바 있다. 더 이전엔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공덕동 일대에 공덕 래미안 1~5차를 시공했다.


성수전략지구 재개발 출사표를 낸 삼성물산은 2지구에서 DL이앤씨, 포스코이앤씨와 경쟁을 앞두고 있고 3지구에선 대우건설, 4지구에선 대우건설·롯데건설과 시공권을 놓고 경쟁한다. 한 지역에서 여러 경쟁사와 수주를 놓고 다투는 상황에서 시공사 간 수주 경쟁이 워낙 치열해 지다보니 성수 일대에 '삼성타운'을 건설하고자 하는 현장 담당자의 의욕이 과도한 제안을 했다는 분석이다.


현대건설도 재건축 최대어인 압구정현대 아파트 재건축을 노리고 있다. 총 6개 구역으로 나눠진 이 지역에 현대아파트 원조인 현대건설은 모두 현대의 깃발을 꽂겠다는 기세다. 업계 1위 삼성물산마저 2구역 수주를 시도했다가 사업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내세워 입찰을 포기할 정도다.


하지만 2구역에서 삼성물산이 수주를 포기한 후 조합원들 사이에선 현대건설을 향한 볼멘 소리가 나온다. 압구정 현대를 왜 무조건 현대건설만 재건축을 해야 하냐는 목소리가 일각에서 나온다는 것이다.


한 조합원은 “압구정 현대라는 이름값이 있는데 아무리 원조 건설사라도 수의계약을 하는 것은 시공사에 끌려다닐 가능성이 있다"며 “압구정 현대 재건축을 마치 현대건설만 하고, 다른 건설사가 지레 포기하는 현재 분위기는 결코 조합원들에게도 이득이 될 것은 없다"고 말했다.


여기에 3구역에선 부지 내 일부 땅 소유권자가 현대건설인 것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조합원 77명이 현대건설을 상대로 지분 정리를 위해 '소유권 이전 등기 청구의 소'를 제기하는 등 압구정현대 재건축 지구에서 과거 현대건설로 치우쳤던 선호도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도 파악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아무리 대형 건설사라도 시공사 간 수주 경쟁이 워낙 치열해지다보니 과거처럼 특정 지역에 하나의 브랜드 타운을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수주 경쟁 외에도 조합원들의 마음도 워낙 예측 불가능하다보니 어떤 특정 회사의 독식은 앞으로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