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하루 3500억씩 늘었다”…예금보호 높여도 은행 자금 ‘철옹성’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14 10:28

이달 1일 예금자보호한도 1억원으로 상향
2금융권 이동 우려에도 은행 예·적금 더 몰려

금리 격차 적고 1금융권 안정성 선호
“주식·가상자산 등으로 자금 이탈 가능성”

5만원권.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에도 당장 1금융권과 2금융권의 금리 차가 크지 않아 1금융권을 찾는 수요가 유지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달부터 예금자보호한도가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높아졌지만, 예상과 달리 은행권에서 자금 이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안전성이 높은 제1금융권을 찾는 자금이 늘어나며 은행의 정기 예·적금은 전월 보다 더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4일 각 사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 11일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958조6239억원으로 전월보다 3조8920억원 증가했다. 단순 계산하면 하루 평균 3538억원이 늘어난 셈이다.


전월에는 총 9조8719억원이 늘어나 일평균 3184억원이 증가했는데, 이에 비해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 이달 1일부터 예금자보호한도가 1억원으로 높아지면 은행 자금이 금리가 더 높은 제2금융권으로 이탈할 수 있다는 전망과 반대되는 흐름이다.


정기적금도 마찬가지다. 11일 기준 정기적금(잔액 44조8418억원)은 전월 대비 5681억원 늘어나 하루 평균 516억원 늘었다. 전월 증가 폭은 8519억원으로, 일평균 275억원 늘어난 것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 폭이 커졌다.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에도 당장 1금융권과 2금융권의 금리 차가 크지 않아 1금융권을 찾는 수요가 유지됐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2.51%를 기록했다. 2금융권인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의 1년 만기 기준 평균 정기예금(정기예탁금) 금리는 연 2.87%로, 0.36%포인트(p) 차이나는 데 그쳤다.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금리는 전월 대비 0.04%p 하락했는데, 2금융권 정기예금 금리는 평균 0.08%p 낮아지며 감소 폭은 더 컸다. 아직 2금융권의 금리 혜택이 두드러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2금융권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다는 점도 은행의 자금 이탈을 막고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저축은행·상호금융 등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건전성 악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안전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중은행 소비자들이 보호한도 확대만으로 2금융권으로 대규모 이동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향후 기준금리 추가 인하로 은행의 수신금리가 더 떨어지고, 2금융권이 공격적인 수신 확대에 나설 경우 은행 자금이 빠져나가는 머니무브 가능성은 열려 있다. 은행은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금리가 하락하자 수신금리를 빠르게 낮추고 있다. 실제 은행의 저축성수신금리는 지난해 10월 기준금리 인하가 처음 시작된 후 같은 해 11월부터 9개월 연속 하락하며 총 0.87%p 낮아졌다. 반면 상호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 7월 기준 연 3.02%로 두 달 전(연 2.98%) 대비 0.04%p 더 높아졌다. 연말 수신 만기 도래를 앞두고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인데, 향후 금리 경쟁을 본격화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


한편 은행권은 2금융권보다 부동산·증시 등 투자처로의 자금 이동을 더 큰 변수로 보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부동산은 물론 주식, 가상자산 등 투자 시장 분위기가 개선돼 자금이 은행에서 이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