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韓中 세탁기 전쟁 ①] 中가전 글로벌공략 거세진다…삼성·LG ‘K-백색가전’ 최대 위협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18 17:31

2032년 160조원 시장 놓고 글로벌 장악 K-가전에 도전장

가성비 넘어 M&A공세…삼성·LG ‘프리미엄’ 방어선 구축

저가 선호 인도·아프리카 겨냥 통돌이·소형 틈새시장 위협

하이얼·메이디·하이센스·TCL 등 중국 가전기업들이 전세계 세탁기 시장을 거세게 몰아부치고 있다. 아직 글로벌 가전 리더십을 구축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를 따라오지 못했지만 물량과 자본을 앞세운 공세의 세기와 속도는 갈수록 강해지고 빨라지고 있다.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 일본 도시바 가전사업부를 흡수하는 등 인수합병(M&A)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해외취재 지원을 받아 한국 가전기업의 '캐시카우'인 세탁기의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산 가전의 약진과 한국 브랜드에 대한 위협, 한국 가전기업의 대응 등 전반적인 상황 진단과 향후 전망을 분석·조명하는 해외기획 시리즈 '중국 세탁기의 글로벌화와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을 연재한다. 아울러 주요시장인 미국·일본에서 한·중 세탁기 진출상과 현지기업들의 방어 움직임도 소개한다. <편집자주>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시내 홈디포 매장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시내 홈디포 매장의 세탁기 코너에 다양한 LG·삼성 등 한국 브랜드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들이 전시돼 있다. 사진=LA(미국) 여헌우 기자

중국 가전기업들이 '메이드인 차이나(made in China)'의 저가 공세를 앞세워 글로벌 세탁기시장까지 노리고 있다.


세탁기는 삼성·LG전자가 수십년간 기술 장벽을 쌓아 '백색가전의 마지막 보루'로 여겼던 품목이다. 아직 삼성·LG의 상품성이나 브랜드 인지도를 따라오지 못했지만 중국이 태양광·TV 시장을 장악했던 방식을 그대로 내세우고 있어 한국은 물론 미국·일본 등 가전 선도기업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18일 시장조사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츠(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글로벌 세탁기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628억 8000만 달러(약 86조 8000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같은 시기 TV 분야 크기는 2062억 달러(약 284조 6500억원)로 파악됐다. 체급 차이가 3배 가량 나는 셈이다.




성장 속도는 세탁기가 더 빠르다. 전세계 세탁기 시장은 오는 2032년까지 연 평균 8.15% 성장해 2024년 대비 2배 가까운 1152억달러(약 159조원) 규모로 증가할 전망이다. TV의 경우 연 평균 성장률이 2.4%에 불과해 2032년 2481억달러(약 342조4000억원) 크기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100조원대 시장'인 세탁기 분야 선두업체는 삼성전자와 LG전자다. 일찍부터 통돌이, 드럼형, 교반식 등 다양한 분야 제품을 내놓고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는 등 실력을 쌓아온 결과다.


그럼에도 미국·유럽 등 대부분 선진국 시장에서 현지업체들과 점유율 1위 자리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월풀과 제너럴일렉트릭(GE), 유럽에서는 일렉트로룩스 등과 맞붙고 있다. 다만, 중국·일본에서는 존재감이 거의 없다.


삼성·LG전자의 강점은 기술력이다. 미국 컨슈머리포트 조사에서 거의 매번 '최고 세탁기'상을 휩쓸고 있다. 지난 1월 발표된 '최고 대용량 세탁기' 부문에서는 총 9개 중 LG전자가 8개, 삼성전자가 1개를 차지했다.


글로벌 세탁기·TV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

글로벌 세탁기·TV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

▲출처=Fortune Business Insights

반면에 중국 브랜드는 성능 평가 대상에 선정되는 데도 하늘의 별따기처럼 상당히 고전하고 있다. 메이디가 교반식 세탁기 성능 평가 대상에 유일하게 선정됐지만 낮은 점수를 받았다. 세탁 후 옷감의 상태, 진동 등은 장점으로 꼽혔지만 브랜드 신뢰도와 소비자 만족도 부문은 아예 점수를 받지 못했다.


이같은 경쟁 상황을 적극 활용해 한국 기업들은 글로벌 프리미엄 세탁기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렇다 마음을 놓을 처지는 아니다. 중국 가전업체들이 통돌이·소형 제품 등에서 저가 공세를 펼치며 호시탐탐 틈새를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 아프리카 등 인구는 많고 저렴한 제품을 선호하는 국가에서는 '메이드인 차이나' 영향력이 계속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탁기 전쟁에서 주목해야 할 변수는 중국 가전업체들이 선진국 시장 공략을 위해 적극 구사하고 있는 '인수합병(M&A) 전략'이다. 중국 가전의 글로벌 진출 최대 무기였던 가격 경쟁력으로 선진국 프리미엄 가전시장을 뚫는데 한계가 있는 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하이얼은 지난 2016년 미국 GE 가전사업부문을 54억달러에 인수했다. 이를 계기로 북미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며 프리미엄 라인업을 확대했다. 메이디도 2016년 일본 도시바의 백색가전 자회사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지분 80%를 약 5473억원에 사들였다. 도시바 브랜드와 기술력을 활용해 글로벌 경쟁력을 크게 강화하기 위해서다.


이밖에 유럽 가전기업 캔디, 파나소닉 자회사 산요전기 등을 중국 자본이 집어삼키며 메이드인 차이나의 글로벌 영향력을 급속하게 키워나가고 있다.



1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