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트럼프, 한중일 정상 모두 만난다…2기 첫 아시아 순방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24 09:04
Trump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기 집권 이후 첫 아시아 순방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4박5일 간 일정으로 최대 경쟁 상대인 중국과 담판을 짓는 동시에 우방국들과 결속을 다질 예정이다.


블룸버그통신,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3일(현지시간) 브리핑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일정을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밤(한국시간 25일 낮) 에어포스원을 타고 26일 오전 말레이시아에 도착해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양자회담을 가진 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 실무 만찬에 참석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에서의 아세안 주요 회원국들과의 만남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중국의 군사적·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는 행보가 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날인 27일 일본으로 향하고 28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신임 총리와 양자회담을 가진다. 다카이치 총리가 선출된 뒤 첫 미일정상회담이다.




다카이치 총리는 강경 보수 성향의 정치인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결이 맞을 수 있다. 그러나 한국, 중국 등 주변 국가들과 관계가 순탄치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미·일 공조'가 필요한 미국 입장에선 리스크 요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 한국에 도착한 후 이재명 대통령과 만난다. 지난 8월 25일 이 대통령의 방미 이후 약 두 달 만의 한미 정상회담이다. 회담 장소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예정된 경주로 잡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 이후 APEC 최고경영자(CEO) 오찬에서 기조 연설을 하고 저녁엔 정상들과 실무 만찬을 갖는다.


아시아 순방 마지막 날인 30일 오전 트럼프 대통령은 APEC 참석을 위해 방한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좌한다. 시 주석과의 만남은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렸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6년여 만이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목요일(30일) 오전 시 주석과 만난 뒤 귀국한다"고 소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정상회담에 대해 “일이 잘 풀려 모두가 결과에 만족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중일 정상과 차례로 만나는 자리에서 관세와 투자가 핵심 의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미국은 일본과 무역협상을 타결했지만,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조건 중 하나인 5천500억달러의 대미 투자 등을 놓고 일각에서 재협상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국과도 타결이 임박했다는 관측 속에 협상이 막바지에 이르렀지만, 3500억달러의 대미 투자 방식과 투자금 납입 기간, 외환시장 안전장치 등에 대해 이견을 노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의 경우 90일간 '관세 휴전'이 내달 10일 만료되는 와중에 최근 희토류 수출 통제와 이에 따른 '100% 추가 관세'를 계기로 미중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의 펜타닐 공급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그에게 물어볼 첫 번째 질문은 펜타닐"이라며 “그것을 의제 목록의 맨 위로 놓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중국이 펜타닐 수출을 통제하지 않았다며 모든 중국산 제품에 20%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날 여부도 또 하나의 관심사다.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일정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그가 마음만 먹는다면 김 위원장에게 '번개 회동'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게 외교가의 공통된 견해다.


실제로 지난 2019년 판문점 회동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를 통해에서 성사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여러 차례 피력했고, 김 위원장도 가능성을 닫아놓지 않았다.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 대한 입장차나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 등을 고려할 때 이번 순방에서 김 위원장과의 '깜짝 회동' 성사 가능성은 낮다는 게 일반적인 예상이지만, 이를 아예 배제할 수도 없다.


이 대통령은 전날 방영된 CNN 인터뷰에서 북미가 이번에 만날 “가능성이 크지 않다"면서도 “북미가 전격적으로 만날 수 있다면 전적으로 환영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