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승현

jrn72benec@ekn.kr

정승현기자 기사모음




현대제철, 3분기 영업실적 개선…원가↓·車강판·반덤핑 ‘3박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30 16:29

영업익 932억원 전년比 81%↑…1Q부터 상승세
차입금·부채비율 개선세 뚜렷해 재무 건전성 강화
美 루이지애나주 제철소 투자지분 11월 중 확정
EU CBAM 대비…내년 국내 배출권 부담 있을듯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충남 당진에 위치한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의 전경. 사진=현대제철

현대제철이 3분기 원자재 가격 하락과 자동차용 강판 판매 비중 확대, 저가 수입 철강재 반덤핑 관세 부과에 힘입어 전년 대비 개선된 영업 실적을 냈다.


현대제철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잠정 영업이익이 93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 늘었다고 30일 공시했다. 올해 1분기를 저점으로 영업이익이 반등하는 추세를 유지한 것이다. 매출은 2% 증가한 5조 7344억원을 기록했고, 당기순이익은 178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차입금은 9조3681억원으로 지난해 말 9조7000억원 수준보다 작고, 부채비율은 71.1%로 8.6%포인트(p) 낮췄다.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운전자본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별도 기준 판매 실적은 총 434만6000여톤이다. 강종별로는 △판재 305만3000톤 △봉형강129만3000톤의 판매 실적을 올렸다.


이번 영업실적에 대해 현대제철은 “원재료 가격이 하락한 데다 자동차 강판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판매 비중이 확대된 영향"이라며 “4분기부터 저가 수입재에 대한 통상 대응 효과가 본격 반영돼 실적이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덤핑 예비 조치 이후 열연강판 수입 물량은 7월 34만톤에서 9월 13만톤으로 줄었다.




현대제철은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철강 무역장벽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 내용도 언급했다.


먼저 미국 철강 관세 50%를 피하기 위해 루이지애나주에서 추진 중인 전기로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의 투자 지분 구성을 다음 달 중 결정해 공개할 예정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현대제철이 투자 지분 절반을 가지고, 나머지 절반을 외부에서 조달해야 하는 상황이다. 포스코그룹의 투자 지분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현대제철은 “제철소 주설비 기업을 선정했고, 현지 인허가 절차도 진행 중"이라며 “지분투자 구성은 11월 중 확정해서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관해서는 “EU는 철강 순수입 국가이므로 CBAM을 시행하더라도 탄소 저감 경쟁력 확보를 통해 시장 점유율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며 “고로-전기로 복합 공정 기술을 비롯한 탄소저감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EU가 요구하는 탄소 감축 수준에 맞춰 대응할 준비가 완료됐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내년부터 2030년까지 시행되는 4차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로 배출권 구매 부담이 예상된다는 설명도 내놨다. 현대제철은 “4차 배출권 거래제가 현안대로 시행되면 소규모로 할당량이 부족해 배출량을 줄이거나 배출권을 사야 하는 상황"이라며 “내년 2월부터 탄소 저감 제품 생산에 들어가고 재작년부터 단계적 진행 중인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CDQ)를 갖추는 데 더해 저탄소 원료인 철스크랩 사용 비중을 늘리면 내년부터 배출권 구매 같은 비용 지출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3분기 성과로 현대제철은 글로벌 시장 판매 경쟁력 강화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 신제품 양산 준비 등을 제시했다. 인도 푸네 완성차 클러스터 내 스틸서비스센터(SSC)를 준공하고 상업 생산을 개시했다. 호주에서는 지속가능성 인증을 취득해 현지 건설시장 내 판매 경쟁력을 높였다.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국내 전 사업장에 클라우드 인프라를 도입하고, 저탄소 인증 철강재를 AWS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에 공급했다.


아울러 현대제철은 더 가볍고 단단한 철강 수요 증가에 대응해 1.3기가파스칼(GPa)급 인장강도를 구현한 마르텐사이트(MS)강과 3세대 자동차강판 신제품의 양산·공급을 추진하고 있다. 자율주행차 구조용 고장력강은 고객사 테스트용 소재로 공급해 인증을 진행 중이다. 개발 완료한 일반 차량 시트레일용 초고장력강은 2026년 초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 부문에서는 모듈러 주택시장 성장에 맞춰 바닥 충격음 저감기술과 H형강 구조 시스템 등 핵심 기술을 개발해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