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현대차그룹-BYD, 日 친환경차 시장 놓고 ‘격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01 10:00

‘재팬 모빌리티쇼 2025’ 나란히 참가···전기차·수소차 등 기술력 경쟁
‘수입차 무덤’ 친환경차는 틈새 시장

시메기 토시유키 현대차 일본법인장(왼쪽)과 정유석 현대차 부사장이 지난달 29일 '재팬 모빌리티쇼 2025' 현대차 부스에서 디 올 뉴 넥쏘를 소개하며

▲시메기 토시유키 현대차 일본법인장(왼쪽)과 정유석 현대차 부사장이 지난달 29일 '재팬 모빌리티쇼 2025' 현대차 부스에서 디 올 뉴 넥쏘를 소개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BYD가 일본 친환경차 시장을 놓고 격돌하고 있다. 도쿄에서 개막한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 나란히 참석해 소비자 접점을 늘리며 앞선 기술력을 과시하고 나섰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일본 대표 산업 전시회인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 처음 참가했다. 행사는 지난달 29일 개막해 오는 9일까지 열린다.


현대차는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를 일본에서 최초로 공개했다. '꾸준하고 담대한 도전으로 나아가는 미래'라는 주제 아래 현대차의 수소 기술 개발 여정도 소개하고 있다. 현대차는 넥쏘를 내년 상반기 현지에 공식 출시할 계획이다.




전기차 경쟁력도 홍보한다. 회사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의 기술 소개 및 아이오닉 5의 글로벌 수상 내역을 소개하는 콘텐츠가 전시된다. 올해 출시 이후 인기를 끌고 있는 인스터(국내 판매명 캐스퍼 EV)도 관람객들에게 선보이고 있다.


'재팬 모빌리티쇼 2025' 기아 부스 전경. 기아는 PBV 신모델 'PV5'를 전면에 내세웠다.

▲'재팬 모빌리티쇼 2025' 기아 부스 전경. 기아는 PBV 신모델 'PV5'를 전면에 내세웠다.

기아는 이번 행사를 일본 친환경차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는 자리로 낙점했다.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신모델인 'PV5'를 앞세워 일본 전기 밴 시장을 공략한다는 게 업체 측 목표다. 기아는 일본 내 PBV 시장 진입을 위해 지난해 일본 유력 종합상사 소지츠와 현지 판매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기아는 일본 시장 진출 첫 해인 내년 딜러 8개와 서비스센터 100개 구축을 시작으로 전역에 판매 및 서비스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중국 전기차 업체 BYD도 맞불을 놨다.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에 부스를 뀌고 일본 시장 전용으로 개발된 순수 전기 경차 'BYD 라코'를 최초로 선보였다. 또 일본 시장에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로는 처음으로 'BYD 씨라이언 6 DM-i'를 출시한다고 알렸다. 신차를 선보이면서 PHEV 시장까지 노리는 '투 트랙 전략'을 전개하는 셈이다.


행사장 BYD 승용 부문 부스에는 BYD 라코와 BYD 씨라이언 6 DM-i를 비롯해 아토 3, 돌핀, 씰, 양왕의 슈퍼카 U9 등이 함께 전시됐다.


류쉐량 BYD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영업사업부 총경리는 프레스 콘퍼런스 자리에서 “(일본에서)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강화하고 제품 라인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BYD가 지난달 29일 개막한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서 일본 전용으로 개발된 전기 경차 'BYD 라코'를 선보였다.

▲BYD가 지난달 29일 개막한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서 일본 전용으로 개발된 전기 경차 'BYD 라코'를 선보였다.

한국과 중국의 대표 자동차 기업들이 일본으로 향하는 것은 친환경차 시장에 대한 성장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신차 판매 비중의 30%를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탄소 중립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승용차 뿐 아니라 전기 밴 등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토요타, 혼다, 닛산 등 점유율이 높아 '수입차 무덤'으로 불리지만 친환경차 시장 침투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내연기관차 시장에서는 일부 프리미엄 브랜드를 제외하고 존재감이 거의 없지만 전기차 시장 수입차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10%가 넘는다.


현대차는 일본을 공략하다 판매 부진으로 2009년 철수했다. 그러다 2022년 8월 전기차를 앞세워 13년만에 재진출을 선언했다.


현대차의 '친환경차 전략'을 일정 수준 통하는 모습이다. 올해 1~8월 누적판매가 지난해 전체 판매량을 이미 뛰어넘을 정도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해 8월까지 일본 자동차 시장에서 총 648대를 판매해 작년 한해 기록(618대)을 이미 넘어섰다.


BYD는 시장을 선점한 상태다. 2005년부터 일본 시장에 진출해 주로 전기 버스 등 상용차 분야에서 활동해 왔다. J6, J7, K8 모델을 포함해 누적 약 500대를 판매를 기록하며 일본 전기 버스 시장에서는 존재감을 발산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현지 업체들도 '안방'을 사수하기 위해 친환경차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혼다는 '재팬 모빌리티쇼 2025'에서 전기차인 '혼다 0 시리즈 프로토타입 모델'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소형 전기차 프로토타입 모델도 데뷔 무대를 가졌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