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생성된 이미지
글로벌 증시가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기록적인 수준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또 다른 위험자산인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가상화폐 시세는 여전히 맥을 못추고 있어 향후 전망에 관심이 쏠린다.
4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한국시간 오전 11시 20분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2.24% 하락한 10만7072달러를 기록 중이다. 비트코인 시세는 지난 7일 동안 6% 넘게 추락했다.
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은 4.68% 급락한 3647달러를 보이고 있고 리플(-5.56%), 바이낸스(-6.33%), 솔라나(-9.07%), 트론(-4.38%), 도지코인(-6.57%), 카르다노(-6.18%) 등 주요 알트코인 시세도 폭락세다.
비트코인은 지난달 6일 장중 12만6198달러까지 치솟으면서 신고가 랠리를 이어갔었다.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상황 속에서 화폐 가치 하락에 대비하는 투자 전략인 '디베이스먼트 트레이드'가 부상하면서 자금이 비트코인·금·주식 등에 몰린 탓이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對中) 100% 추가 관세'를 경고한 이후 비트코인 시세는 하락 전환했고, 낙폭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기술주 중심의 미국 나스닥지수가 역대 최고가 수준에 유지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7년만에 처음으로 '업토버'(비트코인이 매년 10월마다 강세를 보이는 현상)가 깨지자 향후 시세 전망에 대한 비관론이 쏟아지고 있다. 비트코인의 지난달 월간 상승률이 -4%로, 2019년 이후 최악의 10월을 보였다.
블룸버그통신은 “비트코인은 작년 12월과 비교하면 여전히 약 14% 상승한 수준이지만,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을 선호하는 환경 속에서도 주식 수익률에 뒤처져 있다"며 “긍정적인 거시경제 여건에도 불구하고 가상자산은 제자리를 찾기 위해 고전하고 있다"고 전했다.
카프리올 인베스트먼트의 찰스 에드워즈는 7개월 만에 처음으로 비트코인에 대한 기관투자자들의 수요가 채굴 속도를 밑돌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2025년 비트코인 가격 추이(사진=코인마켓캡)
전문가들은 지난달 가상화폐 시장을 강타한 '역대급 청산' 사태 여파로 바닥이 확인될 때까지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달 비트코인 급락 당시 약 190억달러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며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셀리니 캐피탈의 조르디 알렉산더 최고경영자(CEO)는 “새로운 상승 시도를 하기 전, 가격이 바닥을 찍었다는 확신이 필요하다"며 “시장은 여전히 10월 청산 쇼크의 후유증을 겪고 있다"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투크리움ETF의 제이크 핸리 이사는 “비트코인은 여름 이후 고점을 찍은 후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고, 리플 시세는 여름 중순부터 꺾이기 시작했다"며 “이러한 가격 흐름은 투자자들 차익실현에 나서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투자전문지 배런스는 가상자산 시세는 4분기에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올해는 이러한 추세가 깨질 가능성이 있다며 비트코인 가격이 바닥을 다질지, 아니면 더 가파르게 하락할지가 현재 최대 관건이라고 짚었다.
테라해시의 애널리스트들은 “비트코인 시세가 9만8000달러선을 지켜내는 게 핵심"이라며 “해당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7만4000달러~9만달러 범위까지 쉽게 하락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구간마저 방어히지 못할 경우 6만~7만달러까지 추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증시 사이클을 연구하는 라스 본 티엔은 최근 가상자산 전문매체 코인피디아와 인터뷰에서 “미국·중국·유럽의 유동성이 과거와 비교해 느린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며 이는 향후 비트코인 등 가산자산 시세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비트코인 가격의 약 40%는 유동성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며 “현재 데이터를 보면 2023년부터 시작된 이번 상승장이 정점에 도달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티엔은 특히 이번 사이클에서 자금이 알트코인 등 투기적 자산이 아닌 실물 산업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며 “알트코인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은 실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과거에는 비트코인이 고점을 찍으면 알트코인이 뒤따라 오르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번엔 상황이 다르다"며 내년 2분기부터 유동성이 축소돼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의 약세장이 지속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여헌우의 산업돋보기] 현대차·기아 최대 매출 키워드는 ‘해외 RV 판매단가’](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4.39ee8907c14c4f11930c06ab50c318da_T1.jpg)





		![[EE칼럼] 덴마크, 시민들이 만든 행복한 재생에너지 강국](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3.ce47c76617544c63af90401ba296a333_T1.jpg)
![[EE칼럼] 동떨어진 한국의 에너지 ‘패스트 트랙’](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0702.05b45b3b37754bef91670415ae38a4b8_T1.jpg)
![[김병헌의 체인지] APEC, 한국의 외교적 주도권과 실질 성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625.3530431822ff48bda2856b497695650a_T1.jpg)
![[이슈&인사이트] 정보시스템의 재난 방지를 위한 중복 설계의 중요성](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221.166ac4b44a724afab2f5283cb23ded27_T1.jpg)

![[기자의 눈] 신뢰 사라진 코스닥 시장](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0924.557f404e66b243fdb312b183c238d211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