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규빈

kevinpark@ekn.kr

박규빈기자 기사모음




SK하이닉스, AI 호황에 5년 만에 ‘순현금’ 전환…美 매출 비중 70% 돌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16 12:56

3분기 말 현금성 자산 28조 원 육박…차입금보다 3.7조원↑
엔비디아 등 美 빅테크 수요 힘입어 누적 미국 매출 45조 돌파

SK하이닉스의 16단 HBM 제품 HBM3E 모형. 사진=박규빈 기자

▲SK하이닉스의 16단 HBM 제품 HBM3E 모형. 사진=박규빈 기자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중심으로 한 인공지능(AI) 메모리 시장 호황에 힘입어 폭발적인 실적 성장을 기록하며 재무 건전성을 대폭 개선했다. 1년 만에 현금성 자산을 17조원가량 늘리며 2019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순현금' 상태로 전환했으며, 전체 매출에서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70%를 넘어섰다.


16일 SK하이닉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7조854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10조8579억원과 비교하면 17조 원 가까이 급증한 수치다.


반면 3분기 말 차입금은 24조787억원으로, 현금성 자산이 차입금 규모를 3조7000억 원가량 앞질렀다. SK하이닉스는 지난 10월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3분기 매출 증가에 따른 채권 회수액이 증가하며 순현금을 달성했다"고 공식화했다.




이러한 현금 흐름 개선은 HBM을 필두로 한 호실적이 주효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 64조3200억원, 누적 영업이익 28조367억 원을 기록했으며, HBM은 전체 D램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엔비디아·AMD·구글 등 주요 빅테크 고객사가 몰려있는 미국 시장의 성장세가 압도적이었다. 올해 3분기 미국에서 발생한 매출은 17조3457억 원으로, 3분기 전체 매출 약 24조4000억원의 70.9%에 달했다. 미국 매출 비중이 70%를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2020~2023년 사이 39~53%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비약적인 성장이다.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미국 매출은 45조 원을 넘어섰으며, 이는 작년 같은 기간 27조3599억원보다 17조8000억원 이상 늘어난 수치다.


'AI 큰손' 엔비디아에 대한 매출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SK하이닉스는 3분기까지 엔비디아에 17조3551억 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같은 기간 회사 전체 매출의 27%에 해당하는 규모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시장 주류인 5세대 HBM3E 물량 대부분을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으며, 6세대인 HBM4 공급도 앞두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