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일의 한 태양광 시스템(사진=로이터/연합) |
28일 에너지정보업체 리스타드 에너지가 새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세계에서 총 90 기가와트(GW) 규모의 발전소급 태양광 발전설비가 새로 추가될 예정이지만 이중 56% 가량이 지연되거나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세과 공급망 병목 현상이 지속되면서 태양광 비용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탓이다. 이에 관련 업체들은 더 높은 단가로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거나 비용 상승을 고스란히 떠안은 채 태양광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하는데 결코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리스타드 에너지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 비용은 지난해 와트피크(WP) 당 0.20달러를 밑돌았지만 올 하반기까지 0.26∼0.28 달러까지 오르는 등 최대 50% 가까이 급등했다. 리스타드 에너지는 "이처럼 비용이 크게 오른 데는 폴리실리콘 가격 급등이 주요 원인"이라며 "작년 7월 이후 폴리실리콘 가격이 300% 가량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폴리실리콘은 태양광 산업의 토대가 되는 기초 소재로,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시스템 순으로 밸류체인이 짜여 있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 역시 폴리실리콘 가격이 작년 10월부터 현재까지 200% 이상 오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폴리실리콘 가격만 오른 게 아니다. 태양광 시스템에 들어가는 기타 원재료인 구리, 알루미늄, 유리 가격 또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알루미늄 가격은 올 들어 36% 가량 뛰었고 구리는 27% 상승했다.
이처럼 원재료 값이 급등세를 보이자 태양광 모듈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모듈 가격 인상에 나서기 시작했다. 업계에 따르면 한화큐셀은 이달 국내에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 제품의 기준단가를 10% 인상했고 현대에너지솔루션도 모듈 가격 인상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물류대란에 따른 해상·항공 운임 급증도 태양광 산업에 또 다른 악재다. 리스타드 에너지는 "2019년 9월부터 현재까지 운임이 500% 뛰었다"며 "이는 개발업체와 모듈 공급업체 모두에게 어려움을 안겨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업계에 따르면 모듈 가격과 운임은 태양광 프로젝트의 전체 비용에서 25%∼33% 가량 차지하며 운임 상승으로 태양광 발전의 균등화발전비용(LCOE)이 10%에서 15% 뛴 것으로 전해졌다. 태양광 발전 확대를 위해선 ‘지속적인 비용절감’이 전제 조건으로 떠오르고 있기에 공급망 병목, 원자재 인플레이션 등이 해소되지 않는 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움직임은 위축될 전망이다.
리스타드 에너지의 데이빗 딕슨 재생에너지 수석 애널리스트는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태양광 산업은 가장 어려운 도전해 직면했다"며 "특히 현재의 공급망 병목 현상은 향후 12개월 이내에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관련 업체들은 마진을 줄이거나 태양광 프로젝트를 지연시키거나 계약 금액을 높일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美 소비재 기업들도 가격 줄줄이 인상 예고
![]() |
▲맥도날드(사진=AP/연합) |
2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이날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올해 미국 매장들의 메뉴 가격 인상률이 6%가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는 각종 비용이 빠르게 치솟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특히 인건비만 현재까지 10% 이상 급등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카콜라의 제임스 퀸시 최고경영자(CEO)도 이날 3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물류비용이 내년에도 높은 수준일 것으로 예상하면서 "필요하다면" 가격을 올리겠다고 밝혔다.
식품업체인 크래프트하인즈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전 세계 소매 부문과 레스토랑의 가격을 1.5% 인상하고 3M 역시 제품 가격을 인상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여행 관련 비용도 오를 전망이다. 힐튼의 최고경영자인 크리스토퍼 나세타는 이날 투자자들과의 콘퍼런스콜에서 "우리는 매일, 매초 제품 가격을 다시 책정할 수 있다"며 호텔 숙박비 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에 대처할 것임을 시사했다.
앞서 실적을 발표한 생활용품업체 프록터앤드갬블(P&G)도 제품 가격을 인상해 각종 비용 상승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